올해 미국 대규모 파업 393건 '봇물'…"이런 추세 지속"

임상수 2023. 12. 20. 11: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미국은 노동자의 목소리가 커진 해로 기록될 것이다.'

미국에서 올해 들어 대규모 파업이 400건 가까이 발생했으며,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고 미 CNBC 방송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넬대 노사관계대학원의 집계 결과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미국에서는 50만명 이상 참여한 대규모 파업이 393건이나 발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업 중단 2013년 이후 가장 많아…1분기에 임금 평균 7%↑
지난 10월 미국내 포드 공장에서 집회 중인 전미자동차노조(UAW) [게티이미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상수 기자 = '올해 미국은 노동자의 목소리가 커진 해로 기록될 것이다.'

미국에서 올해 들어 대규모 파업이 400건 가까이 발생했으며, 향후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고 미 CNBC 방송이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넬대 노사관계대학원의 집계 결과 올해 들어 지난달 말까지 미국에서는 50만명 이상 참여한 대규모 파업이 393건이나 발생했다.

미 노동통계국의 조사 결과, 1천명 이상 노동자가 참여한 조업 중단은 2013년 이후 가장 많았다.

이러한 파업으로 올해 1분기에만 노동조합에 가입한 노동자의 임금이 평균 7% 인상됐으며, 이는 2007년 이후 분기별 임금인상률로는 가장 큰 폭이었다.

특히 할리우드 작가 1만1천500여 명이 소속된 미국작가조합(WGA)은 유니버설과 넷플릭스 등 영화·TV 제작자연맹(AMPTP)과의 협상이 결렬된 후 지난 5월부터 148일간 파업을 벌여 첫해 5% 임금인상, 최소인력 보장, 인공지능(AI) 사용 제한 등 성과를 냈다.

할리우드 배우·방송인 노동조합(SAG-AFTRA)도 지난 7월부터 118일간 파업을 벌여 AMPTP로부터 첫해 7% 임금 인상, 인기 스트리밍 프로그램과 영화에 대한 새 보너스 규정, AI 사용에 대한 보호장치 마련 등 타협안을 얻어냈다.

전미자동차노조(UAW)는 포드자동차, 제너럴모터스(GM), 스텔란티스 등 자동차 제조업체 3사와 협상 결렬 후 지난 9월부터 46일간 파업으로 최소 33% 임금 인상과 전기차·배터리 부문 노조 편입 등의 성과를 거뒀다.

이 밖에 의료종사자들로 구성된 카이저 퍼너먼트 노조연맹, 알래스카 어부, 매사추세츠 공립학교 교사, 캘리포니아 근로자들도 파업을 벌였다.

이처럼 올해 파업의 봇물이 터진 것은 노동계가 지난 몇 년간 지속해온 노력의 결과라고 노동전문가들은 평가했다.

특히 '무노조'의 아마존에서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 창고 노동자들은 2021년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스타벅스 노동자들도 같은 해 뉴욕 버펄로의 한 매장에서 처음으로 조합을 결성하는 등 다양한 산업에서 노조 활동이 활성화됐다.

이와 함께 3.7% 수준의 낮은 실업률 등 현재 노동시장의 상황도 이러한 추세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네덜란드 흐로닝언대 현대사 전공 제이슨 레스니코프 조교수는 "근로자들이 이직하고 더 나은 일자리를 찾을 수 있게 되는 등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황에 처하게 되면서 파업하기 훨씬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노조 활성화 추세는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레스니코프 조교수는 노동자들이 올해 협상을 통해 성과를 냄으로써 향후에도 승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현재 노조 가입률은 10%에 불과하지만, 이번 파업의 성과로 비노조 노동자도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UAW 파업 이후 도요타와 테슬라 등이 임금인상에 나서는 등 이른바 '낙수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nadoo1@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