詩로 풀어낸 육신의 필멸과 고통… “인간의 100년은 참 쓸쓸해”
‘핏줄’ 몸 아파 뿌리인 고향 찾아 쓴 詩… 생전 모친 말씨 담아
다 마른줄 알았는데… ‘핏줄’ ‘나의 양 떼들’ 얘기할땐 눈물이…
2024년 등단 60년… 스승 박목월처럼 생애 마지막까지 대표작 써야죠
왜 이래? 처음에는 알 수 없는 불만이 터지면서 현실을 거부하는 마음이 먼저 일었다. 위기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번 시집을 마무리하고 죽나 보다, 하는 나약한 마음도. 한동안 베개 위에서 이리저리 뒤척였다. 생각도 함께.
곧바로 자리를 박차고 컴퓨터 앞에 앉았다. 자판을 신나게 두드리기 시작했다. 자연스럽게 글이, 시가 펼쳐졌다. 한 자도 고치지도 않고 끝까지 쭉 밀고 나갔다.
신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세월과 함께 쇠잔해진 팔순의 육체를 다양하게 다뤘다. “정신을 고급으로 아”끼면서도 몸에 대해 오만했던 시절에 대한 반성이자, 앓는 몸을 가진 세상 사람들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쯤 되겠다.
한국시인협회장까지 역임한 팔순의 노시인 신달자가 느끼고 경험하고 바라본 육신의 세계는 어떤 모습일까. 문학적 여로는 어디로 향하는 것일까. 신 시인을 지난 13일 서울 용산 세계일보 사무실에서 만났다.
육신은 영원하지 않다. 젊을 때는 건강하지만, 세월이 흐름에 따라 노화하면서 소멸을 향해 나아간다. ‘육신이라는 집’은 그렇게 나이를 먹음에 따라 아파오는 몸을 노래한 시편이다.
“세상의 모든 원리는 새것이었다가 낡아지고 소멸하는 거잖아요. 한번 생각해 보세요.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이순신이나 김소월만 해도 다 사라지고 없잖아요. 이름만 남아 있죠. 인간의 100년은 참 쓸쓸한 거죠. 인간에게 두려운 것은 경제적인 파탄이지만, 먹을 게 있으면 돈이 최고는 아닙니다.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제일 중요해요.”
육체 탐구는 뿌리, 기원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소중한 몸을 만들어준 어머니와, 아버지와, 정서와 감정을 부여해준 고향까지.
“핏줄 속에는/ 큰 손이 있는 기라/ 보이지도 않으면서 화악 잡아당기는/ 쇠스랑 같은 손이 있다깡케// 핏줄 속에는/ 발자국도 없이/ 저벅저벅 걸어와 기척 없이 몸 위에 드러눕는/ 뭉클한 가슴이 있는 기라/ 그 뭉클한 가슴을 생으로 떼어 줘도 될 것 같은/ 아니 떼어준 그루터기에서 비집고 나오는/ 새순 같은 그 질긴 생명력을/ 몇 배로 키워 다시 빗줄 안으로/ 쏴아 쏴아 내려 붓고 싶다캉께//… 니 아나?/ 고향도 아버지같이 핏줄인기라/ 아무것도 없는 곳에서 생명으로 태어난 고향/ 물이지만 쇠뭉치 같은 바위보다 더 무거운/ 그 질긴 줄을 저릿저릿한 핏줄이라 안 카드나/ 수세기 흘러가는 줄/ 끊을 수 없는 역사라 안 카드나.”(‘핏줄’ 부문)
―마치 신이 내린 무당이 노래하는 것 같습니다.
“작년 겨울에 완성한 시입니다. 몸이 아파서 엄마와 아버지, 고향 등 뿌리를 한번 찾아가 본 거예요. 만약에 제가 죽을 때 인사를 한다면 역시 고향과 엄마와 아버지와 이런 게 아닐까, 한번 생각해 본 거죠. 엄마는 늘 경상도 말을 썼는데, 엄마 목소리로 저한테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쓴 시입니다.”
“‘핏줄’과 ‘나의 양 떼들’ 얘기만 하면 눈물이 나서….” 신 시인은 시를 설명하다가 갑자기 눈물을 훔쳤다. “제 시간이 다 가나 봐요. 생전 안 이러는데. 큰일 났네. 다른 곳에서 인터뷰할 때 안 이랬는데. 왜 이러지. 눈물도 다 말라버렸는데….”
1943년 거창에서 태어나서 부산에서 자란 신달자는 시 ‘환상의 밤’이 1964년 잡지 ‘여상’에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1972년 박목월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에 시를 발표하면서 재등단했다. 등단 이후 ‘열애‘, ‘종이‘, ‘북촌‘ 등 다수의 시집을 펴냈다. 신인여류문학상, 시와시학상, 현대불교문학상, 영랑시문학상, 공초문학상, 김준성문학상, 대산문학상 등 많은 상을 받았다.
―내년이면 등단 60년이 되는데 다시 태어나도 시인이 되고 싶은지요?
“금방 대답이 나오지 않네요…(잠시 생각한 뒤) 시인이 되고 싶지 않아요. 다시 태어나면 다른 것 해보죠. 물론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진 않겠지만.(시인으로 제일 힘들었던 건 무엇이었습니까) 시를 썼는데 사람들이 알아보지 않는 게 제일 힘들었습니다. 요즘 젊은 시인들은 공감 같은 것 안 바란다, 시를 써놓으면 누군가는 읽는다고 하는데, 전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시는 공감대가 필요하니까요.”
“더 좋은 시를 쓰다가 죽어야 되겠죠.” 신작 시집의 의미와 특징을 설명하는 도중, 노시인은 이번 시편이 자신의 시 세계의 끝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50년 전의 어느 날로 기자를 끌고 갔다. 그러니까 스승이 작고하기 얼마 전, 박목월 시인에게 물었다. “선생님의 대표작은 ‘나그네’라고 할 수 있겠지요?” 시 ’나그네’는 스승이 창작한 시 가운데 가장 유명하기도 했고 각종 교과서에 실린 작품이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박목월의 반응은 예상 밖이었다. “아이다, 내 대표작은 오늘 밤에 쓸 기다.”
“저는 스승의 말씀을 굉장한 교훈으로 삼아요.” 인터뷰를 마치고 귀가를 위해 택시에 오르는 신달자 시인의 뒷모습을 오랫동안 지켜봤다. 택시가 향하는 곳은 어디일까. 육신을 뉘일 물리적 집일까, 존재의 의미를 밝히는 시의 성채일까, 아니면 쓰기 자체가 목적인 글쓰기의 감옥일까. 시인은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그의 말은 떠나지 않고 아리랑으로 울려 퍼지고 있었다. “지금도 저의 대표작을 쓰고 있다고 생각하고 시를 씁니다.”
김용출 선임기자 kimgija@seyg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처럼 결혼·출산 NO”…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주목받는 ‘4B 운동’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단독] “초등생들도 이용하는 女탈의실, 성인男들 버젓이”… 난리난 용산초 수영장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