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철 "미국 중심→유럽·후발국, 과학기술 외교 외연 넓혀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그동안 미국 중심으로 과학기술 외교를 해왔다면 앞으로는 기초과학 강국인 유럽 국가와 우수 인력 확보가 가능한 개발도상국이 글로벌 협력 대상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신성철 과학기술협력대사는 19일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열린 '2023 과학기술외교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스위스,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는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많은 기초과학의 나라로 이들과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면 좋을 것"이라며 "또 한국의 주요 대학에서 후발국 이공계 우수 인력 양성 또한 우리의 경제 영토를 넓힐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미국 중심으로 과학기술 외교를 해왔다면 앞으로는 기초과학 강국인 유럽 국가와 우수 인력 확보가 가능한 개발도상국이 글로벌 협력 대상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기됐다.
신성철 과학기술협력대사는 19일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열린 '2023 과학기술외교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스위스, 스웨덴, 오스트리아 등 유럽 국가는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많은 기초과학의 나라로 이들과 공동 연구를 활성화하면 좋을 것“이라며 ”또 한국의 주요 대학에서 후발국 이공계 우수 인력 양성 또한 우리의 경제 영토를 넓힐 수 있는 기회“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주로 미국과 과학기술 협력을 해왔다면 앞으로는 글로벌 협력망을 보다 다각화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이번 포럼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외교부가 처음으로 공동 개최한 포럼으로, 글로벌 과학기술 협력과 외교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신 대사는 기술패권시대에 승자가 되려면 과학기술과 외교가 ‘동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기술 없는 외교는 힘이 없고, 외교 없는 과학기술은 경쟁력이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행히 20년 전과 오늘날 대한민국 과학 위상은 정말 달라졌다”고 말했다.
선진국이 한국을 과학기술 협력 파트너로 인식할 정도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다는 점에서 이제 ‘글로벌 중추국가’로 거듭나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기술과 외교 분야에 두루 전문성을 겸비한 융복합 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교포 과학자 등 적합한 인재를 찾아 과학기술 외교 전문성을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노벨 수상자 배출도 과학 외교가 담당해야 할 일이라는 의견이다. 그는 ”경제 10위권 나라인 우리나라 국민들의 자존심과 국가 위상이 달린 일“이라며 ”이를 위해선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과학자들과 학술 교류를 활성화해 우리 과학자들의 업적이 보다 널리 알려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광물, 소재 등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도 글로벌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중국 공급망과 일본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의존도 높다. 우리나라의 핵심 수출 산업은 반도체·디스플레이지만 해당 분야의 수출이 늘어날수록 소재나 광물 수입 또한 늘고 있다. 해외에 의존하는 구도에서 벗어나 상호 보완적인 협력 관계를 맺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설명이다.
신 대사는 “국내 화석연료의 93%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양자컴퓨터 로드맵을 보면 선도국은 4000 큐비트를 목표로 하는데 우리는 50큐비트로 그 격차가 크다“며 ”선도국가와의 협력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년에 22대 국회가 꾸려지면 ‘과학기술 외교 기본법’을 추진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과학기술 외교는 과기정통부와 외교부뿐 아니라 중기부, 산자부, 국정원 등 범부처가 행정체제를 구축해야 하는 일로, 이를 능동적으로 추진하려면 법안 제정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