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보다 더 귀했는데…'K인삼' 산업, 위기 처한 이유가 [박동휘의 컨슈머 리포트]

박동휘 2023. 12. 19. 12: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인삼'은 왜 세계화에 더딜까

숙종의 후궁 장희빈은 조선 500년 역사상 가장 화려한 ‘패셔니스타’였을 것이다. 장희빈의 집안인 인동 장씨는 역관으로 승승장구했다. 청과 일본을 상대로 한 삼각 무역으로 당대 최고의 비단 장수로 꼽혔다. 장씨 집안의 ‘헤로인’ 장희빈은 휘황찬란한 비단옷으로 맵시를 뽐내며 숙종 연간의 사치 풍조를 온몸으로 표현했다.

‘장희빈의 비단’은 숙종 이후 정조 때까지 약 150년간의 짧았던 조선 상업사(史)의 결과다. 인동 장씨 같은 역관 집단이 삼각 무역의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 ‘고려 인삼’이다. 사행길에 오른 역관들은 ‘출장비’ 대신 인삼을 들고 청의 상인들과 사무역을 벌였다. 인삼을 팔아 비단을 사 오고, 비단을 일본에 되팔았다.

이때 일본에서 들어온 다량의 은화 덕분에 당시 조선은 제한적이나마 대항해 시대의 동북아시아 무역망에 편입되면서 영·정조 연간에 상업의 씨를 뿌릴 수 있었다. 장희빈이 사치를 누릴 수 있던 것도, 정조가 미완의 개혁을 단행할 수 있던 것도 근원을 따지자면 상당 부분 인삼에 빚을 지고 있었던 셈이다.

 금보다 귀했던 인삼

수백 년이 지난 지금도 한국 인삼의 브랜드 파워는 상당하다. 베트남 상류층 사이에선 최대한 생김새가 사람(人)과 비슷한 한국산 삼(蔘)이 최고의 선물로 여겨진다. 아마존이나 아이허브에 들어가 보면 ‘Jin Seng(진셍, 인삼의 일본식 표기)’ 성분으로 만들었다는 건강보조식품이 무수히 많다.

‘파르마톤(Pharmaton)’이라는 인삼 성분을 함유한 비타민 브랜드는 거대 제약사인 사노피 소유다. 호주의 SFI헬스는 ‘진셍’과 발음이 비슷한 ‘진사나(Ginsana)’라는 이름의 인삼 비타민 제품을 판매 중이다. 중국과 싱가포르도 그들의 토양에서 자란 인삼을 ‘세계화’하려고 혈안이다.

‘K식품의 효시’라고 할 수 있는 역사성과 여전히 유효한 브랜드 파워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인삼 산업은 위기에 처해 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중 인삼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50.3%에 달했으나 2019년 37.9%로 감소했다. 1020세대의 쇼핑 놀이터로 불리는 올리브영이 최근 건기식 등 헬스케어 상품군을 확대하면서 인삼 제품을 쏙 빼놓은 건 인삼의 현재 위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민간회사인 인삼공사, 사명에서 '公社'부터 빼야

수출도 상황이 안 좋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수출액은 2억7000만달러(약 3500억원)에 그쳤다. 라면(11월 누적 8억710만달러)은 고사하고, 올해 1조원 수출액 돌파가 예상되는 김과 비교해도 형편없는 실적이다.

국내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는 KGC인삼공사(이하 인삼공사)가 전 세계 40여 개국에 250여 가지 제품을 수출하는 등 끊임없이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지만 인삼의 쓴맛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들의 취향과 주력시장인 중국의 경기침체 탓에 상황이 녹록지는 않다. 중국, 대만, 미국, 일본에 있는 인삼공사 해외 법인은 지난해 27억원의 적자를 냈다. 전체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15%(2022년)에 불과하다.

K식품의 효시인 인삼은 왜 세계화에 실패한 걸까. 인삼공사의 사명에서 어느 정도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KT&G의 100% 자회사인 인삼공사는 민간 기업이다. 하지만 여전히 사명에 ‘공사’를 쓰고 있다. 인삼공사측은 주력시장인 중국시장의 개척과 위조상품 방지를 위해 사명을 고수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전매청 시절 국내 시장에서 독점으로 누렸던 공신력을 여전히 놓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게다가 인삼공사의 역대 사장은 모두 KT&G 출신의 담배 전문가들이다.

K인삼이 오늘날까지 명맥을 유지할 수 있게 된 건 인삼공사의 공이 크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당시 전매청 직원과 인삼 상인들로 구성된 ‘삼종회수특공대’는 목숨을 걸고 북한군 점령지인 개풍군에 특파돼 인삼 종자를 확보했다. 누가 뭐라 해도 인삼공사는 인삼에 관한 한 세계 최고 권위를 갖고 있다.

9월 말 기준으로 국내 7715건, 해외 1만2686건의 인삼 관련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다. 인삼공사 산하 한국인삼연구원은 2016년에 세계 최초로 인삼 진세노사이드 성분 분석에 대한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았다. 연구 인력만 130여 명에 달한다. 구슬은 벌써 서말이다. 인삼공사가 사명부터 바꾸고, 혁신을 통해 세계로 성큼 나가길 기대해 본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