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데뷔 전부터 ‘팬덤’ 몰고 다녀…벼랑끝 국힘 아이돌 될까

신유경 기자(softsun@mk.co.kr) 2023. 12. 19. 0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한국 정치사에서 자주 등장했던 법조인 출신 정치 유망주지만 이례적으로 빠른 시간에 팬덤을 형성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문재인 정부의 조국 전 법무부장관이 유사한 경우지만 그는 당으로 넘어오기 전에 낙마했다.

탄탄대로를 걷던 한 장관은 조국 전 법무부장관 일가 수사를 지휘하면서 좌천을 거듭하게 된다.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은 취임 후 처음 단행한 검찰 인사에서 한 장관을 부산고검 차장검사로 발령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비리 수사 전문가 명성…尹과 명운 같이해
강남 출신·엘리트 이미지와 대중적 인기 병존
현재권력 최측근인데 팬덤 형성도 이례적
한동훈 법무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한동훈 법무부장관은 한국 정치사에서 자주 등장했던 법조인 출신 정치 유망주지만 이례적으로 빠른 시간에 팬덤을 형성했다는 특징을 갖는다. 내년 총선에서 패배의 그림자가 드리운 보수 여당이 한 장관에게 러브콜에 쏟아내는 것도 그의 ‘스타성’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전통적으로 젊은 정치인이 귀한 정당이다. 과거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원희룡 국토부장관 등이 ‘차세대’로 주목받았으나 당 대표나 대권 후보 반열에 오르지는 못했다. 한 장관이 갖는 또 다른 특징은 현직 대통령과의 관계다. 현재 권력과 차기 권력 간에 긴장관계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차기 권력이 정치 기반을 넓혔던 사례와는 다르다. 현직 대통령의 최측근 참모인데 팬덤을 몰고 다니는 것은 한국 정치사에서 드문 현상이다. 문재인 정부의 조국 전 법무부장관이 유사한 경우지만 그는 당으로 넘어오기 전에 낙마했다.

1973년생(50세) 서울 태생인 한 장관은 압구정동에 위치한 현대고등학교를 거쳐 1996년 서울대 법대를 졸업했다. 재학 중인 1995년 사법시험에 합격해 1998년 27기 사법연수원을 수료했다. 2003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로 배치받은 뒤 윤석열 대통령과 SK 분식회계 사건, 대선 비자금 사건, 현대차 비리 등 주요 수사를 함께 하며 인연을 맺었다. 이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이명박 정부 시절인 2009년에는 청와대 민정수석실에서 근무했다. 대검찰청 정책기획과장, 서울중앙지검 초대 공정거래조세조사부장 등을 역임했다. 2016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사건 때는 박영수 특별검사팀에서 수사팀장이던 윤 대통령과 호흡을 맞췄다.

탄탄대로를 걷던 한 장관은 조국 전 법무부장관 일가 수사를 지휘하면서 좌천을 거듭하게 된다.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은 취임 후 처음 단행한 검찰 인사에서 한 장관을 부산고검 차장검사로 발령냈다.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재차 좌천돼 한직에 머물던 한 장관은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화려하게 복귀했다.

보수 진영에는 법조 출신 거물 정치인이 다수 존재했다.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 황교안 전 자유한국당 대표, 윤석열 대통령 등이다. 이 전 총재와 황 전 대표 모두 대권을 꿈꿨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이들은 각각 김영삼 정부와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뒤 당으로 넘어와 정치인으로 변신한 사례다. 황 전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인 2019년 입당한 지 50일도 채 안 돼 당대표에 당선됐으나 정치 생명은 길지 못했다.

이에 비해 윤 대통령은 진보 정권에서 검찰총장을 지내면서 권력 핵심들과 각을 세우며 대중적 인지도를 높인 사례다. 이를 통해 곧바로 대선 후보로 직행해 단숨에 대권을 거머쥐었다. 한 장관의 정계 진출은 앞선 사례들과는 다르다. 아직 대선이 3년 이상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일찌감치 등판할 경우 총선 결과에 따른 책임까지 오롯이 져야 하는 부담이 크다. 반대로 총선을 승리로 이끌 경우엔 이후 전당대회를 통해 공식적인 당 대표에 오르고 차기 대권주자 입지를 일찌감치 굳히는 전리품을 얻어낼 수 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