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준의 마음PT] 내 마음 속 양지(陽地)를 찾아서

함영준·마음건강 길(mindgil.com) 대표 2023. 12. 19. 05: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우리 모두는 콤플렉스와 상처, 트라우마를 가지고 살아간다. 우리 뇌 속에는 부정적 기억들이 많다. 우리는 대개 덮어둔다. 외면하고 상대하지 않는다.

칼 구스타프 융・앨버트 엘리스・데이비드 호킨스 등 20세기 탁월한 정신과 의사·심리학자·영성가들은 대부분 “모든 문제는 내 마음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데 동의한다. 따라서 해결방법도 자기 마음 속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셔터스톡

그러나 이것들은 없어지지 않고 내 안의 ‘안티(anti)’로 남아 ‘반정부 활동’을 벌인다. 마치 휴화산처럼 의식 심층부 저 아래 잠복해 있다가 내가 약해졌을 때나 곤궁에 빠졌을 때 뚫고 올라와 나를 괴롭히고 나락에 빠뜨리려고 한다.

10여년전 급작스럽게 우울증이 찾아 왔을 때 나도 호되게 겪었다. 인간은 겉으로(또는 의식적으로) 강하고 자신만만한 것처럼 보이지만 속으로(무의식적으로) 약하고 자기 비하와 콤플렉스도 많다.

우울증이란 주제를 놓고 본격적으로 취재에 들어갔을 때 객관적으로 남부러울 것 없는 사람들인데 심한 콤플렉스와 우울증 속에 살아가는 이들을 발견하고 놀랬다.

# 사회적으로 성공한 병원 원장은 학력 콤플렉스가 심했다. 좋은 집안에서 자란 그는 다른 형제들이 모두 경기고와 서울대를 나왔는데 유독 자신만 그보다 낮은 학교를 다닌 데 대해 지금까지 자책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감정에는 명문 학교를 고집하던 부모님께 불효했다는 자격지심과, 한편으로 섭섭하다는 반감도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그는 이런 콤플렉스에서 탈출하기 위해 자식들을 해외 유학 보내는 등 엄청난 투자를 했는데 결과가 신통치 않았다. ‘도대체 나는 무얼 했나’라는 자괴감이 그를 우울증으로 끌어들인 것이다.

마음의 평화나 궁극적인 진리에 도달할 수 있는 방은 하나지만 그 곳에 들어갈 수 있는 문은 여러 개라고 한다. 어떤 문으로 들어가느냐는 각자의 선택과 의지다. /셔터스톡

어느 40대 변호사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수시로 맞고 자랐다. 다행히 공부를 잘해 명문대를 졸업하고 고시를 패스해 법조인의 길을 걸어가고 있지만 그는 아버지에 대한 트라우마로 인해 아내와 자식들에게조차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고 고독하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의 내면에는 권력과 힘, 특히 폭력에 대한 근본적 두려움이 존재하며 자신을 겁쟁이로 여겼다. 나이가 들면서 그 역시 아버지처럼 권위적으로 행동하고 자식들에게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역시 사법고시를 패스해 검사로 입문, 승승장구 검사장직(차관급)까지 올랐고 현재는 변호사로 활동 중인 중견 법조인은 그보다 더 출세한 동료나 후배를 보면 주눅이 든다고 했다.

고등검사장이나 검찰총장, 장관을 지낸 이들을 만나면 괜히 자신이 왜소해 보이고 마음이 편치 않다는 것이다. 그런 마음이 결국 우울증으로 이끌었다. 자신의 삶의 목적을 서열, 출세에 두었기 때문이다.

남이 보면 팔자 좋다고 할 50대 부잣집 마나님도 있었다. 돈 잘 버는 사업가 남편과 명문대를 졸업하고 전문직 종사자로 일하는 두 딸을 두고 있지만 그녀의 내면은 우울하기만 했다. ‘도대체 내 인생에서 뭘 이뤘나’라는 허무한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남편이나 두 딸에 비해 자신이 매우 부족한 것 같다는 열등감 속에서 살아가고 있었다.

우리 사회 상층부를 형성하는 사람들 중에 이런 황량한 내면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런 사람들을 일컬어 ‘성·불·사(성공했지만 불행한 사람)’라고 부른다는 것을 그때 알았다.

속에는 강한 성취욕과 경쟁심, 질투, 시기심, 좌절, 수치, 불만, 후회, 자기 회한 등이 공존하고 있다. 이런 마음들은 외부에 대한 원망은 물론 자신에 대한 원망으로도 이어진다.

그들은 대개 낮은 자존감의 소유자이며 자신의 인생이나 성격, 경험들에 대해 적지 않게 부정적이거나 열등하게 기억하고 해석한다.

‘아. 나는 성공한 인생이 아냐.’

‘내 인생은 더 이상 발전이나 행복은 기대할 수 없어.’

‘왜 나는 늘 이 모양이지?’

이런 고정관념과 비관론, 운명론이 쇠사슬처럼 묶여 있는 한 우울증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다.

# 내 경험상 해결의 방법은 내 의식 밑바닥에 존재하는 콤플렉스와 아픈 추억, 트라우마를 끄집어내 직면(直面)하는 데서 비롯된다고 본다. 그래서 실은 별게 아니구나하는 ‘담대한’ 깨달음을 느껴야 한다.

그런데 워낙 마음 속에 꽁꽁 숨겨 놨었기 때문에 무엇이 진짜 내 아픔이고 치유해야 할 상처인 지도 잘 모른다. 더구나 잘못 건드리면 더 악화될 위험도 있다. 그처럼 마음의 행로를 추적하는 게 쉽지는 않다.

그런데 어쨌든 용기를 내서 스스로 나서야 한다. 마음 속 어두컴컴한 음지(陰地)를 햇빛이 비치는 양지(陽地)로 바꿔야 한다. 다행히 그 방으로 들어갈 수 있는 문은 여러 개다. 내가 선택할 수 있다. //

<마음건강 길>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