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실 징후 기업 231곳…부동산 업체 22개 ‘최다’
금감원 “은행 건전성엔 영향 적어”
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받아야 하는 부실 징후 기업이 올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기업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융 비용 부담도 커진 영향이다. 업종별로는 부동산 기업 중에 부실 징후 기업이 가장 많았다.
금융감독원이 18일 발표한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채권은행으로부터 부실 징후 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231개사(대기업 9곳, 중소기업 222곳)로 집계됐다. 지난해(185개사)보다 46곳이나 증가했다.
기업에 돈을 빌려준 채권은행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 징후 기업을 선별하기 위해 매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평가등급은 A~D등급으로 나뉘는데, C등급과 D등급은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다.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C등급은 워크아웃,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D등급은 법정관리 대상이다.
부실 징후 기업은 2019년 210개사에서 2020년 157개사까지 감소했다. 하지만 2021년 160개사, 2022년 185개사에서 올해 231개사로 늘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금감원은 “코로나19 기간인 2020~2021년 부실 징후 기업 수가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로 전환했다”며 “대내외 경기 부진 및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 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부실 징후 기업은 부동산이 22개사(9.5%)로 가장 많았다. 이어 도매·상품중개 19개사(8.2%), 기계·장비 18개사(7.8%), 고무·플라스틱 18개사(7.8%), 금속가공 18개사(7.8%)가 뒤를 이었다. 등급별로는 C등급이 118개사, D등급이 113개사였다.
금감원은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신용공여 규모가 지난 9월 말 기준 2조7000억원으로 크지 않아 국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추정했다. 부실 징후 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이 추가로 적립해야 하는 충당금은 3500억원으로 추정했다.
금감원은 “자구계획 전제하에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채영 기자 c0c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를 품은 달’ 배우 송재림 숨진 채 발견
- ‘교수님이 재워주는 영상’이 대박 난 이유
- [스경X이슈] 반성문 소용無, ‘3아웃’ 박상민도 집유인데 김호중은 실형··· ‘괘씸죄’ 통했다
- 윤 대통령 ‘연이은 골프’에 경호처 “연습장 가면 일반 국민 제한 받아서”
- 한동훈 대표와 가족 명의로 수백건…윤 대통령 부부 비판 글의 정체는?
- 아프고 계속 커지는 켈로이드 흉터··· 구멍내고 얼리면 더 빨리 치료된다
- 민주, 명태균 통화 녹음 추가 공개 “대통령 온다고 얘기하면 안 돼”
- ‘피해자 100명 이상’ 아동 성학대 은폐한 영국 성공회 수장 사임
- 3200억대 가상자산 투자리딩 사기조직 체포… 역대 최대 규모
- [속보]‘뺑소니’ 김호중, 1심서 징역 2년6개월 선고···“죄책감 가졌나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