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징후 보이는 기업 231곳...1년 만에 25% 증가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 영향으로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1년 사이 25%나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18일 채권은행들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벌인 결과 231곳이 부실 징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이상)은 지난해 대비 7곳이 증가한 9곳,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미만)은 같은 기간 39곳 늘어난 222곳이 부실 징후 기업으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 가장 많아
금감원 "건전성 영향은 미미"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 영향으로 부실 징후를 보이는 기업이 1년 사이 25%나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18일 채권은행들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벌인 결과 231곳이 부실 징후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85곳에서 46곳 증가했다.
부실 징후 기업은 통상적인 자금차입 외에 외부 추가자금 유입 없이는 정상적인 채무이행이 어렵다고 주채권은행이 인정한 기업이다. 채권은행은 세부평가가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산업위험· 영업위험·현금흐름 등에 대해 추가 평가를 한 뒤 A~D 중 하나의 등급을 부여한다.
부실 징후 기업 중 C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높음)은 전년보다 34곳 늘어난 118곳,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적음)은 12곳 증가한 113곳으로 나타났다.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이상)은 지난해 대비 7곳이 증가한 9곳,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미만)은 같은 기간 39곳 늘어난 222곳이 부실 징후 기업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22개)에 속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기가 고조되는 것과 궤를 같이 한다. 이어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 등이 뒤를 이었다.
부실 징후 기업은 2019년 210곳, 2020년 157곳, 2021년 160곳으로 다소 감소했다가 지난해부터 다시 증가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해에 이어 대내외 경기부진 및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의 수익성 악화가 지속됐다"며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 등이 증가한 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금감원은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올해 9월 기준 2조7,000억 원 수준으로 국내 은행의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진단했다. 금감원은 "경영 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재무구조 개선작업(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 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의 경우엔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하늘 기자 ahn708@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건희 여사 디올백' 수사 시작됐지만... 법 허점에 준 사람만 처벌될라
- 신혼집으로 ‘아파트 해 달라’는 아들… "빠듯한 살림에 어쩌죠?”
- 데뷔 20년차 유연석, 감탄 부른 섬뜩 '사이코패스' 연기 명장면 셋
- 유튜브에 일상 공개한 SK그룹 '재벌3세'..."기부 문화 혁신 위해"
- 두통 호소 응급실 찾은 70대, 7시간 대기하다 숨져
- 경복궁 '낙서 테러' 용의자 3명 신원 파악... "두 사건, 다른 인물"
- "제가 죽었다고요?"... 나도 몰래 '사망' 처리된 생존자 10년간 1200명
- "43년 동안 기다렸다"… '서울의 봄' 황정민 광주서 눈시울 붉혀
- 석화 7개에 2만 원, 핫도그는 5000원…‘관광용 시식대’로 전락한 전통시장
- '오인 피살' 이스라엘 인질들, 남은 음식으로 'SOS' 문구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