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고금리에 부실 징후 기업 전년보다 46개 증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이후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올 한 해 부실 징후 기업이 2022년보다 46개 늘어났다.
올해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231개사 중 C등급은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 12개사 증가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서 늘어난 부실 징후 기업 중 85%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올해 9월말 기준으로 2조7천억원 수준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손희연 기자)코로나19 이후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올 한 해 부실 징후 기업이 2022년보다 46개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은 18일 채권은행의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부실 징후 기업이 231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정기 신용위험평가 후 A~D등급으로 기업을 분류하는데, C와 D등급은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다. 이중 C등급은 자구 노력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가 추진되지만 D등급 기업은 채무자회생법에 따른 회생 절차가 진행된다.
올해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231개사 중 C등급은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 12개사 증가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서 늘어난 부실 징후 기업 중 85%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부실 징후 기업은 대기업서 9개사, 중소기업은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늘었다.
업종별 분류로 따져보면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로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 업종이 11개 늘었고 자동차에서 8개, 부동산 7개, 도매·상품 중개업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늘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이 지난 2022년부터 대내외 경기 부진, 원가 상승으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된 데 올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 되면서 연체가 발생한 기업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금감원은 분석하고 있다.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올해 9월말 기준으로 2조7천억원 수준이다. 은행권의 신용 공여가 73.4% 수준이다. 은행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천500억원이다.
금감원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희연 기자(kunst@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한 '슈퍼 쏠' 앱, 일시적 지연 복구…정상 작동
- [미장브리핑] 굴스비 美 시카고 연은 총재 "금리 인하 데이터따라 결정"
- 부동산대출받은 소상공인 72만명에게 25만원 돌려준다
- "기관 CBDC에 집중…중앙은행 통화정책 주권 유지할 것"
- 수능 끝 첫 주말, 지스타2024 학생 게임팬 대거 몰려
- "밈코인, 뉴노멀 가능성...장기 산업 발전 영향력은 제한적"
- 삼성 차세대폰 갤럭시S25, 언제 공개되나
- 대기업 3Q 영업익 증가액 1위 SK하이닉스...영업손실 1위 SK에너지
-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페이스X’, 기업가치 약 349조원 평가 전망
- SOOP이 만든 영상 생성AI '싸비'는 스트리머 어떻게 돕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