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아침] 수도권매립지, 어찌할 것인가
우리가 버린 쓰레기를 누가 치울 것인가. 수도권매립지가 꽉 차는 2026년부터 어찌할지, 인천, 경기, 서울의 단체장이 여러 차례 모였다. 기존 매립지(제1과 제2 매립장은 종료, 제3-1은 매립 중)는 거의 다 차서 태워서 매립량이라도 줄이려고 서울, 경기, 인천에 그나마 소각장을 준비하고 있을 뿐이다.
서울 난지도 쓰레기 처리장이 포화상태에 이르자 정부는 1992년부터 서울, 경기, 인천 공동으로 수도권매립지를 2016년까지 쓰게 했다. 종료 시점이 되자 2015년 6월, 서울, 인천, 경기, 환경부 4자 협의체는 수도권매립지를 제3-1 매립장 매립 완료인 2025년까지 연장 사용하기로 합의했다. 단, 3개 자치단체는 3-1 매립장 매립 완료 이전에 자체적인 대체 쓰레기 처리장을 마련하기로 했다.
누구나 사는 지역에 매립지 생기는 걸 바라지 않으니, 새 매립지 선정은 물론이고 소각장 확충조차 만만치 않다.
인천시 시정혁신단은 주민 반대 등으로 제자리걸음인 소각장 확충 절차가 시급하다며 ‘2026년 (환경부의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에 따른 폐기물 정책 전환 정책간담회’를 했다(본보 8월25일자).
서울시가 신규 생활폐기물 소각장 건립지로 상암동 등 2개 필지를 결정하자 마포구청장은 즉각 반대 기자회견을 했다(Y뉴스 9월4일자).
김포시가 올 3월 하루 500t의 생활 쓰레기를 소각할 후보지로 양촌읍 등을 선정했지만, 다른 지역 쓰레기를 실은 트럭이 서구를 지난다며 서구 주민과 구의회 등이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막상 서구청도 입지선정위원회가 소각장 지을 곳을 찾고 있어, 추후 김포시 인근에 소각장을 만들 수도 있는 똑같은 처지다(I인터넷신문 12월8일자).
매립지 선정 후에도 용출수 처리장치 등 일이 많으니, 빨리 대체 매립지를 확보해야 할 단체장들은 우선 내년 4월14일까지 3조원대의 지원보상금을 내걸고 희망 지자체 공모 절차에 들어갔다(C일보 11월21일자).
무턱대고 ‘3-1공구의 사용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대체 매립지가 선정 안 되면 106만㎡까지 추가 매립지(3-2)로 사용할 수 있다’는 단서 조항 속에 숨어 후세에게 빚을 넘겨 또 10여년을 더 끌 것인가.
우선 합의대로 대체 매립지를 만들고, 관련 여건을 서로 참작하라. 혈액이 우리 몸 곳곳을 연결하듯 각 지역 사랑이 수도권 전체를 살린다. 하나가 곧 여럿이라는 화엄경의 말처럼 함께 살아야 할 것이니 사랑으로 매립지를 선택하라.
경기일보 webmaster@kyeonggi.com
Copyright © 경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 분향소, 133일만에 철거
- 인천 연수구육아종합지원센터, 2024년 아동학대예방 주간 행사
- [속보] 법원, ‘경기도 법카 10만4천원 결제’ 김혜경에 벌금 150만원 선고
- 성남 다세대주택 화재로 대응 1단계…“인명피해 없어”
- 섬마을에 ‘생명수’… 인천 시도·장봉도, 물 걱정 해방 [현장, 그곳&]
- 새로 도입된 여주 남한강경찰대 신형 순찰정
- 인천경찰, 수험생 18명 순찰차로 무사히 시험장 수송
- 특례시 앞둔 화성시, 명품 녹색도시 조성 집중 [내 삶을 바꾸는 희망 화성]
- 과천시 도시계획조례 개정 추진…지정타 제약·바이오 연구소 입주하나
- 나로 온전히 쉬는 ‘슈필라움’…안상철미술관 최서원 초대전 ‘Spielraum for 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