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슬링 전설 박장순 “모든 힘의 원천은 복근”[이헌재의 인생홈런]

이헌재 스포츠전문기자 2023. 12. 17. 23:4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6년 세계레슬링연맹(UWW)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박장순 삼성생명 감독(55)은 한국 레슬링의 전설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68kg급 은메달을 시작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74kg급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같은 종목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한국 투기 종목 선수 가운데 올림픽 3연속 결승 진출은 박 감독이 유일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 레슬링의 레전드 박장순 삼성생명 감독이 경기 용인에 있는 팀 훈련장에서 뒤로 보이는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당시 장면처럼 두 팔을 벌려 보이고 있다. 용인=이헌재 기자 uni@donga.com
2016년 세계레슬링연맹(UWW)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박장순 삼성생명 감독(55)은 한국 레슬링의 전설이다. 1988년 서울 올림픽 레슬링 남자 자유형 68kg급 은메달을 시작으로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74kg급 금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같은 종목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한국 투기 종목 선수 가운데 올림픽 3연속 결승 진출은 박 감독이 유일하다.
이헌재 스포츠전문기자
그런 박 감독을 가장 괴롭힌 건 ‘체중 조절’이었다. 1990년 초 유럽 투어 때는 아무리 해도 살이 빠지지 않자 자신의 코를 주먹으로 때려 코피를 낸 적도 있다. 단 1g이라도 줄여보려 한 것이다. 그는 “대회가 열린 러시아 시베리아는 밤에 영하 40도까지 내려갔다. 흐르는 쌍코피를 휴지로 틀어막고 운동장을 뛰고 또 뛰었다. 그만큼 간절했고, 그만큼 힘들었다”고 했다. 결국 체중을 맞춘 그는 그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해 베이징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후 체급을 74kg급으로 올렸다. 그리고 5전 6기 끝에 해당 체급 최강자이던 케네스 먼데이(미국)를 꺾고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은퇴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도 그는 74kg의 몸무게를 유지하고 있다. 먹는 만큼 운동을 한다. 그는 “아이들에게 시범을 보이려면 항상 준비돼 있어야 한다. 선수들과 똑같이 일주일에 두세 번 웨이트트레이닝을 한다”고 했다.

선수 시절 그는 ‘줄 타고 오르기’의 장인이었다. 11m 높이의 줄을 한 번에 10번씩 오르내렸다. 그걸로는 성이 차지 않아 15kg 원반을 달고 줄타기를 하기도 했다. 그가 잘하지 못했던 건 달리기였다. 당시 태릉선수촌에 입촌한 선수들은 불암산 정상까지 뛰어오르곤 했는데 그는 레슬링 선수 중 꼴찌를 도맡아 했다. 다시는 쳐다보기도 싫을 것 같지만 그는 요즘도 집이 있는 남양주 별내에서 불암산까지 등산을 한다. 그는 “선수 때는 불암산 산신령님이 우리를 지켜준다고 생각하면서 운동을 했다. 요즘도 옛날 생각을 하며 불암산에 오르곤 한다”고 했다.

쉬는 날엔 아내와 함께 종종 여행을 떠난다. 최근에도 강원도 강릉과 양양을 다녀왔다. 그는 “평일에 선수들을 열심히 지도한 뒤 휴일엔 모든 걸 비우고 재충전을 한다”며 “선수들에게도 운동할 때는 최선을 다하고, 쉴 때는 화끈하게 쉬고 오라고 한다”고 했다.

그는 ‘복근’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복근에 힘이 떨어지면 몸 전체가 처진다는 것. 그는 “굳이 피트니스센터에서 복근 운동을 할 필요는 없다. 소파 위에서나 방석을 깔고 앉아 엉덩이를 붙인 채 발을 반복해서 들어 올리는 가벼운 동작으로도 충분하다”며 “한 달만 꾸준히 하면 복근을 통해 에너지가 생기고, 굽어 있던 어깨가 펴지는 게 느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바닥에 엎드린 채로 양손과 양발을 들어 올리는 동작도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좋다”고 덧붙였다.

아버지 같은 지도자가 되려는 그의 인생 최종 목표는 선수촌장이다. 그는 “선수로서, 또 지도자로서 행복한 인생을 보냈다. 언젠가는 선수촌장으로 내가 살아온 인생과 노하우를 후배 선수들과 함께 나누는 꿈을 꾼다. 그날을 위해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헌재 스포츠전문기자 un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