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포·수통 대신 솜이불·텀블러…군 급식은 뷔페식 된다

정혜경 기자 2023. 12. 17. 20:4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든 군 장병들이 이제는 잘 때 모포 대신에 솜이불을 덮게 됐습니다.

수통도 3년 안에 전부 교체하고, 급식도 뷔페식으로 시범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공군과 해군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평시에는 상용 이불을 사용해 왔는데, 올해부터 육군과 해병대 등 전군 병사들 모두 '솜이불'을 덮고 잘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뀌지 않는 군'의 상징 수통도 2026년까지 전면 교체됩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모든 군 장병들이 이제는 잘 때 모포 대신에 솜이불을 덮게 됐습니다. 수통도 3년 안에 전부 교체하고, 급식도 뷔페식으로 시범 운영하기로 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정혜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육군과 해병대에서 '유사시 필수품'으로 여겨졌던 군용 모포.

취침 시 덮고 자는 것은 물론, 야외 훈련 때도 쓰기 때문에 위생 상태가 늘 문제였습니다.

공군과 해군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평시에는 상용 이불을 사용해 왔는데, 올해부터 육군과 해병대 등 전군 병사들 모두 '솜이불'을 덮고 잘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전역자의 침구를 수거해 세탁한 뒤 새것처럼 포장해 신병에게 나눠주는 시범사업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안승후 상병/교육지원대대 : 이불이 부드럽고 포근해서 잘 때 잠이 잘 옵니다. 편히 쉴 수 있어서 너무 좋습니다.]

'바뀌지 않는 군'의 상징 수통도 2026년까지 전면 교체됩니다.

지난 2007년 개량했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졌습니다.

지난 2019년 군인 만족도 조사에서 54개 군 품목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는데, 위생 등 문제가 잇따르면서 인권위에서도 신형 수통의 개별 지급을 권고했습니다.

국방부가 새로 내놓는 수통은 스테인리스 소재 텀블러 형태인데, 무게를 줄이고, 입구를 기존보다 더 크게 만들어 세척도 용이합니다.

이불 교체에는 약 300억 원, 수통 교체에는 약 100억 원 정도의 예산이 투입됩니다.

지역업체를 통해 케이터링과 푸드트럭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한 끼에 1만 3천 원 수준의 급식을 연 9회 제공하는 서비스도 전면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밥과 국, 반찬 3가지였던 기존 배식에 분식 등을 추가해 10개 이상 메뉴를 고를 수 있는 뷔페식 급식도 시범 운영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 이승진, 디자인 : 방명환)

정혜경 기자 choice@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