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산책] 어둠을 밝혀 주는 물고기 ‘명태’
한국인에게 친숙한 생선들을 꼽으라고 하면 단연 으뜸은 ‘명태(明太)’다. 명태는 예부터 혼례·제사·고사 등에 두루 쓰인 유용한 생선이다.
특히 과거 함경도 지방에서는 명태의 간으로 기름을 짜 등불을 밝혔다. 이 때문에 ‘밝게 해 주는 물고기’라는 의미에서 명태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이 있다. 또 명태의 아가미와 알, 창자 등으로는 젓갈을 담근다. 알로 담근 것이 ‘명란젓’이고, 창자로 담근 것은 ‘창난젓’이다. 명태의 이름과 관련해서는 함경도 명천(明川)에 사는 태씨(太氏) 성의 어부가 이 물고기를 처음 잡았는데, 이름을 몰라 지명의 첫 자와 어부의 성을 따서 명태로 이름 지었다는 설도 있다.
명태는 밥상에 오르기 전 상태에 따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 그중 가장 흔한 것이 얼린 ‘동태’다. 요즘처럼 강한 추위에 온몸이 꽁꽁 언 것을 두고 ‘동태가 되다’라는 관용구가 쓰일 정도로 동태는 우리에게 친숙한 먹거리다. 이런 동태에 대립하는, 즉 얼리지 않은 것이 ‘생태’다.
명태를 장기 보관하는 방법으로는 얼리는 것보다 말리는 방식이 더 널리 쓰인다. ‘북어’가 대표적 사례다. 북어 중에서도 얼렸다 녹였다를 반복하며 누런빛을 띠게 말린 것이 ‘황태’다. 얼어 부풀어오르면서 마른 것이 마치 더덕 같다고 해서 ‘더덕북어’라고도 불린다.
누런빛을 띠는 황태와 달리 하얀 빛을 띠는 것이 ‘백태’이고, 검은빛을 띠는 것은 ‘흑태’다. 또 상대적으로 부들부들한 황태와 달리 딱딱하게 말린 것을 ‘깡태’라고 한다. 요즘 맥줏집에서 안줏거리로 인기가 많은 ‘먹태’도 있다. 하지만 이들 이름은 민간에서 통용되는 말일 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올라 있지 않다. 이들 말을 아우를 수 있는 표준어는 ‘건태(乾太)’다. 건태는 북어의 동의어이기도 하다. 또 물기를 절반 정도만 빼서 꾸들꾸들하게 말린 ‘코다리’ 역시 사람들이 널리 쓰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지 않다.
이 밖에 명태의 새끼를 부르는 말은 ‘노가리’다. 이를 ‘아기태’라고도 한다. ‘애기태’ ‘애태’는 비표준어다.
엄민용 기자 margeu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남잔데 숙대 지원했다”···교수님이 재워주는 ‘숙면여대’ 대박 비결은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윤 대통령 골프 라운딩 논란…“트럼프 외교 준비” 대 “그 시간에 공부를”
- 한동훈 “이재명 당선무효형으로 434억원 내도 민주당 공중분해 안돼”
- “그는 사실상 대통령이 아니다” 1인 시국선언한 장학사…교육청은 “법률 위반 검토”
- 또 아파트 지하주차장 ‘벤츠 전기차 화재’에…주민 수십명 대피
- [단독]“일로 와!” 이주노동자 사적 체포한 극우단체···결국 재판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