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때 비정규직 임금상승률 31%, 정규직은 1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22년간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때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가 17일 공개한 '비정규직 실태의 중장기적 변화 분석:2001-2023년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문재인 정부(2016년∼2021년) 5년간 비정규직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31%로, 정규직(13%)에 견줘 18%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22년간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을 비교·분석한 결과 문재인 정부 때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노동자의 임금이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 들어선 주춤한 모양새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가 17일 공개한 ‘비정규직 실태의 중장기적 변화 분석:2001-2023년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문재인 정부(2016년∼2021년) 5년간 비정규직 노동자의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31%로, 정규직(13%)에 견줘 18%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정규직 임금 상승률이 정규직을 넘어선 이후 가장 큰 격차다.
이번 보고서는 통계청이 2001년부터 매년 실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조사(8월 기준)를 기반으로 분석한 것으로, 정권 간 정책 효과와 연속성을 검토하기 위해 직전 정권의 마지막 조사와 해당 정권의 마지막 조사를 비교·대조했다.
노무현 정부(2002년∼2007년) 때도 비정규직 시간당 임금 상승률은 31%로 문 정부와 같았다. 다만 정규직 임금 상승률(44%)이 비정규직 임금 상승률을 크게 앞섰다. 그러다 이명박 정부(2007년∼2012년) 때 임금 상승률은 각각 23%, 24%로 비슷해졌고, 박근혜 정부(2012년∼2016년)부터 역전돼 비정규직의 임금 상승률(17%)이 정규직(10%)을 넘어섰다.
윤석열 정부(2021년∼2023년) 들어선 비정규직 시간당 임금 상승률(13%)로 정규직(8%)보다 높았지만, 인상률 격차는 5%포인트로 문 정부 시기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최저임금제 등 노동시장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없으면 정규직-비정규직 임금 격차는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사회보험 가입률 상승폭을 보면, 문재인 정부 때 비정규직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12%포인트 늘어 가장 많이 증가했고, 이어 노무현 정부 8%포인트, 이명박 정부 4%포인트, 박근혜 정부 2%포인트, 윤석열 정부 2%포인트 순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기 특수고용노동자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2016년 4.23%에서 2021년 60.92%로 급등했는데, 보고서는 문 정부의 전국민고용보험제 영향으로 해석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국힘, 결국 ‘한동훈 비대위’…총선 앞 검찰 전면 배치
- 2만명 예고에 1천명 참석 그친 ‘의협 총궐기’…여론은 등 돌려
- 의사 없어서…“주말에 환자 숨져도 월요일까지 몰랐다”
- 월요일 영하 18도까지…70㎞/h 강풍 주말 지나도 계속 추워
- 이스라엘 ‘자국 인질’ 오인사살 파문…국민 수천명 항의 시위
- 최상목 기재부 장관 후보 “연구·개발 예산 삭감 불가피”
- 과학자 2700명 환경운동가로…BMW 전시장서 연행까지
- [영상] ‘윤석열 사단’ 맞선 검사와 ‘서울의 봄’
- 윤석열 외교, 북핵 대응도 ‘119 대 29’로 할 건가
- 소상공인 한달 289만원 빚 갚는 데 쓴다…영업이익의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