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 살 걱정 없소”…부부 ‘이것’ 같이했더니 100세 걱정 ‘뚝’ [언제까지 직장인]

류영상 매경닷컴 기자(ifyouare@mk.co.kr) 2023. 12. 17. 13: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0세 시대, 노후준비 기본은 ‘국민연금’
어느덧 12월. ‘희비가 엇갈리는’ 인사의 계절이기도 합니다. 더욱이 최근 경기가 급격하게 얼어붙으면서 고용 불안을 느끼는 직장인들의 모습을 도처에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어찌하든 자신의 주된 커리어를 접는 시기는 누구에게나 다가오게 마련입니다. 갑자기 다가온 퇴직은 소득 단절뿐 아니라 삶의 정체성마저 집어삼킬 수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지금 이 순간, 어떻게 준비 하느냐에 따라 인생 2막의 무게와 행복감은 확연히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은퇴 전에는 부(富)의 확대가 우선이라면 은퇴 후에는 ‘현금흐름’이 무엇보다 중요한데, 직장인의 가장 기본적인 소득 창출 수단은 ‘국민연금테크(국민연금 + 재테크)’ 입니다. 이에 격주로 연재되고 있는 ‘언제까지 직장인’에서는 몇 회에 걸쳐 국민연금테크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이미지 = 매경 DB]
‘호모 헌드레드(homo hundred)’, 즉 100세 인간이란 용어가 현실화 하면서 100세 이상 국민연금 수령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재정전망 시 연금수급자가 최대 120세까지 생존할 수 있다는 가정을 반영해 초고령사회를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민연금은 서울올림픽 즈음인 1988년 1월에 도입된 의무제도입니다. 초기에는 기본 조건인 10년 이상 보험료를 내면 만 62세부터 연금을 받는 구조였는데, 수급 연령이 단계적으로 올라, 지금의 젊은 세대는 만 65세가 되어야 연금을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보험료는 소득의 9%로 정해져 있는데 자영업자는 전액을 부담하고, 직장인은 50%를 회사가 내줍니다. 소득이 없어 임의가입한 경우에도 소득에 해당하는 보험료를 납입해야 가입이 인정됩니다. 생애 평균소득 대비 국민연금의 비율을 의미하는 소득대체율은 40%로 맞춰져 있습니다.

국민연금 부부 최고 연 5628만원…“100세 시대 걱정 덜었네”
최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부부 가입자는 65만3805쌍(130만7610명)에 달했습니다. 이 가운데 월 합산 300만원 이상 수령하는 부부 수급자는 1035쌍이었습니다.

국민연금제도가 시행된 이후 부부 수급자 수는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2018년 29만8733쌍, 2019년 35만5382쌍, 2020년 42만7467쌍, 2021년 51만5756쌍, 지난해에는 62만4695쌍으로 60만쌍을 넘어섰습니다.

[사진 = 연합뉴스]
부부가 연금을 가장 많이 탄 수령자는 월 469만원, 개인 최고액 수령자는 월 266만원을 받고 있었습니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각각 5628만원, 3192만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국민연금 부부 수급자는 노후 대비에 훨씬 유리합니다.

국민연금연구원의 ‘제9차(2021년도)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조사 보고서를 보면 50대 이상이 생각하는 ‘노후 적정생활비’는 부부 월 277만원, 개인은 월 177만원이었고, ‘최소 생활비’는 부부 월 198만원, 개인 월 124만원이었습니다. 이는 부부가 같이 국민연금에 가입해 노후에 함께 연금을 타면 생활에 상당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가족단위 아니라 개인별 노후위험 대비”
시중에는 ‘부부가 둘 다 국민연금에 가입해도 나중에는 한 명만 받게 된다’는 주장이 떠돌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국민연금은 가족 단위가 아니라 개인별로 노후위험(장애, 노령, 사망)에 대비해 가입하는 사회보험이기 때문입니다.

부부가 모두 가입하면 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에 따라 남편과 아내 모두 노후에 각자 숨질 때까지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부부가 각자 노령연금(수급 연령에 도달해 받는 일반적인 형태의 국민연금)을 받다가 한 사람이 먼저 숨지면 ‘중복급여 조정’으로 남은 배우자는 자신의 노령연금과 숨진 배우자가 남긴 유족연금 중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한 가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자신이 받는 노령연금보다 죽은 배우자의 연금이 훨씬 많아서 유족연금을 고르면 자신의 노령연금은 못 받고, 유족연금만 받을 수 있습니다. 자신의 노령연금을 고르면 유족연금의 일부(3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사진 = 국민연금공단]
올해 6월말 현재 국민연금 최고령 수급자는 노령연금의 경우 95세, 장애연금은 92세, 유족연금은 110세로 나타났습니다. 국민연금 수급자 중 100세가 넘은 경우는 174명(남자 39명, 여자 135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가장 오랫동안 국민연금을 받은 수급자는 노령연금의 경우 총 30.5년을, 장애연금은 34.3년, 유족연금 34.4년을 받았습니다.

복수의 재테크전문가들은 “퇴직후 ‘10억원’ ‘20억원’의 부동산 보다 죽을 때까지 돈 걱정 없는 ‘연금부자’가 진정한 부자라는 말이 회자된다”면서 “이를 위한 기본적인 방법이 국민연금인데, 부부가 동시에 가입해 불리면 노후 생활에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조언합니다.

다음 시리즈는 ‘내 연금 불려주는’ 국민연금테크 두배 활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