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빙톡] "3시간 넘는 출퇴근 시간…매일이 고돼 우울해요"

박성은 2023. 12. 17. 09: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천에 거주하는 이모(33)씨는 "직장이 있는 강남까지 지하철을 세 번 갈아타는데 편도 1시간 40분 정도 걸린다"며 "사람이 많아 계속 끼어서 가 체력 소모가 큰 데다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우울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인천에 거주하는 이모(33)씨는 "직장이 있는 강남까지 지하철을 세 번 갈아타는데 편도 1시간 40분 정도 걸린다"며 "사람이 많아 계속 끼어서 가 체력 소모가 큰 데다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 우울해지는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출퇴근에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이동욱 인하대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20~59세 노동자 2만3천415명을 분석한 결과 하루 출퇴근 시간이 60분 이상 소요되는 사람은 30분 미만인 사람보다 우울증 증상을 보일 위험이 16% 더 높았습니다.

성별에 따라서 출퇴근 시간과 우울증 사이 연관성은 다르게 나타났죠.

남성의 경우 미혼, 무자녀, 장시간 노동을 할 때 우울증 증상 발생 위험이 두드러졌지만, 여성은 2명 이상 다자녀에 교대근무를 하는 경우 관련 증상이 커졌습니다.

이동욱 교수는 "출퇴근 시간이 길어지면 그 자체로 원하는 시간을 보내는 게 아니기 때문에 심리적,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며 "여가 시간을 빼앗겨 회복할 수 있는 수면 시간이라든지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옥철'로 불리는 김포골드라인의 경우 출근 시간대 최대 혼잡도는 289%로 정원 대비 3배에 육박하는 시민이 좁은 칸 안에 꽉꽉 눌러 타게 되는데요.

서울과 경기권에 사는 직장인들은 사람이 너무 많은 만원 버스와 지하철에 시달리며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죠.

또 국회미래연구연의 '대도시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 7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 최하위 도시로 인천이 꼽혔는데 '긴 통근시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긴 출퇴근길 직장인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정신적, 신체적 방법은 리듬과 균형 두 가지가 중요하다고 전문가는 진단했는데요.

비슷한 시간에 잠자고, 일어나고, 식사하는 리듬감을 가지고 운동, 업무, 휴식 등 어느 한쪽에 과몰입하지 않는 균형을 유지하는 게 도움이 된다고 봤죠.

조성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긴 출퇴근 시간은 번아웃(육체적·정신적 소진)이 유발되고 그게 우울로 연결되는데 자기 효능감 관점에서 해소해 볼 수 있다"며 "예를 들면 음악이나 음성 강의, 오디오북같이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하면 그 시간이 조금 유용하게 느껴지고 성취감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직장에서 가까운 곳으로 집을 옮겨 출퇴근 시간을 줄이는 게 꼽히는데요.

하지만 높은 집값으로 서울시민이 경기도로 이동하는 현상이 가속화하는 게 현실.

통계청의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을 떠나 경기도로 이동한 인구는 4만2천475명, 인천으로 이동한 인구는 1만276명이었죠.

이동욱 교수는 "도시를 계획하는 데 있어서 통근 시간을 고려하는 건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라며 "또 사무실 근무와 재택근무를 병합해 이용할 때 출퇴근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결과가 있다는 보고들이 있는데 스마트오피스나 재택 시스템이 도입되면 조금은 나아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박성은 기자 김진희 인턴기자 오유빈 크리에이터

junepe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