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형 인간'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조상이 OO일수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이른바 '아침형 인간'이라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산하 바카르 전산과학연구소의 토니 카프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현대 인류의 유전자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DNA와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남아 있는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이른바 '아침형 인간'이라면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물려받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최근 과학 저널 '게놈 생물학과 진화'(Genome Biology and Evolution)에는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미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산하 바카르 전산과학연구소의 토니 카프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현대 인류의 유전자를 네안데르탈인·데니소바인의 DNA와 비교 분석했다.
이를 위해 약 50만 명의 유전, 건강 및 생활 방식 정보가 담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밤낮 생체리듬과 연관된 246개의 유전자를 확인했다. 그 결과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 남아 있는 사람들이 '일찍 일어나기'를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에 의하면 최초의 호모 사피엔스는 적도 근처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는데, 이중 일부가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그곳에 살던 네안데르탈인을 만났다. 이렇게 이뤄진 상호 교배로 오늘날 인류는 피부 색소침착, 머리카락, 지방 및 면역과 관련된 유전자를 포함해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최대 4% 보유하고 있다.
카프라 교수는 네안데르탈인이 거주했던 고위도 지역의 특성이 일찍 일어나는 습관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일조량이 적은 고위도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더 예민하게 적응해야 했고, 자연스럽게 빨리 일어나는 '생체 시계'를 가지게 됐다는 설명이다. 다만 인간의 생체 시계는 환경적·문화적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만큼 유전자가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마크 매슬린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교수는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진화했을 때 낮의 길이는 평균 12시간으로 길었지만, 북쪽으로 갈수록 짧아졌다"며 "이 때문에 네안데르탈인은 해가 뜨자마자 식량을 모으기 시작했어야 했다"고 덧붙였다.
YTN 서미량 (tjalfid@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수사 정보 유출' 전면 재조사...경찰서·병원 압수수색
- '연예인 마약 의혹' 유흥업소 실장 첫 공판...'용두사미' 수사 우려
- "1년 전 공사비도 안 줘"...갑질에 지친 중소 건설업계
- "이유있는 질주"...자동차 수출, 내년에도 '씽씽'
- 미국 선거운동에 'AI 투입'..."유권자 맞춤형 대화 가능"
- 배우 송재림 오늘 낮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
- '후원금 횡령' 윤미향 4년 만에 유죄 확정...퇴임 후 의원직 상실형
- '제3자 추천' 김여사 특검 본회의 통과...여당, 반발 퇴장
- 눈 뜨고 코베이는 '깜깜이' 결혼식 비용...가격 공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