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제타 셔우드 홀

박돈규 기자 2023. 12. 16. 03: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주말]
[아무튼, 레터]
미국인 의사 로제타 셔우드 홀. 구한말 조선 의료계에 투신해 의학전문학교와 맹학교를 설립합니다. /이화여대의료원

1890년 스물다섯 살 미국 의사 겸 선교사가 태평양을 건너 인천 제물포항에 도착했다. 그녀의 이름은 로제타 셔우드 홀(1865~1951). ‘남자 의사에게 몸을 보이느니 차라리 죽겠다’던 조선 여성들에게 찾아온 천사와 같았다. 그때까지는 로제타도 몰랐다. 이 낯선 땅에서 남편과 딸을 잃게 될 줄은.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위해 헌신할 것이라고는.

지난 주말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서 ‘로제타’를 보았다. 극공작소 마방진과 미국 리빙시어터가 합작한 연극. 명배우 알 파치노, 로버트 드 니로 등이 거쳐간 리빙시어터는 미국 오프 브로드웨이의 시초가 된 전설적인 극단이다. 이날 둥근 무대 바닥에는 레일과 자갈이 깔려 있었다. 계단형 구조물이 기차처럼 돌고 또 돌면서 장면을 전환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서 공연한 연극 '로제타'의 배우들. 모두가 로제타를 연기했다. /옐로밤

“우리는 전부 로제타입니다! 그녀의 마음이 오늘의 우리입니다!” 미국 배우 3명과 한국 배우 5명이 각자의 언어로 로제타를 연기했다. 모두가 주인공인 셈이다. 이해하기 어렵거나 불친절하게 다가오지는 않았다. 대사 내용보다는 그 옛날 이 땅에서 절박하게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에게 손을 내민 로제타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집중했다. 삶과 죽음, 빛과 어둠, 음악과 절규가 무대에 일렁였다.

이야기는 로제타가 남긴 일기를 바탕으로 구성했다. 그녀가 한글로 삐뚤빼뚤하게 쓴 “어둡고 길 모로니 나를 도와주쇼셔”에서 모든 게 출발했다고 한다. 나이, 계층, 성별, 장애 등 당대의 차별과 선입견에 맞서 싸우며 여성 교육과 의료 봉사에 생애를 바친 로제타가 마주한 ‘순간들’이 무대에 풀려나왔다. 조선 최초 여성병원 설립, 크리스마스 실 도입, 한글 점자 개발…. 감염병으로 남편이 죽고 딸을 또 잃었지만 미국으로 떠났다가 다시 돌아왔다. 그녀는 역경에 굴하지 않았다.

연극의 마지막 장면, 배우들은 각자 본명과 함께 “나는 로제타를 연기했습니다” 외치곤 무대 중앙으로 뛰어들었다. 천장에서 물이 쏟아져 내렸다. 배우들은 빗속에서 춤을 추면서 점점 젖어갔다. 고난에 초점을 맞춘 게 아니라 로제타의 삶에 대한 찬사와 같았다. 관객을 향해 ‘당신도 로제타입니다’라고 말하는 연극이었다. 리빙시어터 대표 브래드 버지스는 “미국으로 ‘로제타’를 가져가서 우리가 원래 어떤 사람이었는지 환기하고 싶다”고 했다.

연극 '로제타'의 한 장면. 내년에는 미국 공연을 추진 중이다. /옐로밤

※ QR코드에 휴대폰을 갖다 대거나, 인터넷 주소창에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5743 을 넣으면 구독 창이 열립니다. ‘이메일 주소’와 ‘존함’을 적고 ‘구독하기’를 누르면 이메일로 뉴스레터가 날아갑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