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여성 10명중 3명만 ‘결혼 긍정’···결혼도 출산도 가장 큰 걸림돌은 ‘돈’
‘경제적 부담’으로 결혼과 출산 기피
독신·동거·무자녀엔 ‘긍정적 인식↑’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세대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 지난해 20대 여성 10명 중 2.7명만 결혼에 긍정적이었다. 20~30대가 결혼과 출산을 꺼리는 가장 주된 이유는 ‘경제적 부담’으로 조사됐다. 실제 다른 연령대의 소득이 늘어나는 동안 20대 이하 가구만 소득이 줄었고, 20대의 빚은 4년만에 두배 가까이 덩치가 불어 팍팍한 삶을 짐작케했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을 보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20대 여성은 지난해 기준 27.5%에 그쳤다. 절반 이상이 결혼을 원했던 2008년(52.9%)과 비교하면 25.4%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결혼에 긍정적인 20대 남성의 비중도 71.9%에서 41.9%로 떨어졌다. 남성보다 여성이, 30대보다 20대에서 결혼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더 낮았다.
모든 연령대가 결혼을 하지 않는 주요 이유로 결혼 자금 부족을 꼽았다. 이런 경향은 20~30대 결혼 적령기 청년층에서 두드러졌다. 20대는 결혼자금 부족이 32.7%로 가장 높았고 이어 결혼의 필요성을 못느낌(19.3%), 출산과 양육부담(11.1%), 직업·고용상태 불안정(10.6%) 순이었다. 결혼 비용과 양육 부담, 고용 등 청년들은 사실상 경제적인 이유로 결혼을 주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청년들의 출산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도 경제력이었다. 20대(20~24세)는 출산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고려사항으로 경제적 여건(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배우자의 육아분담(38.7%), 보육·양육 서비스 이용(33.8%)이라고 답한 비율도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았다.
신윤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은 “청년들의 혼인·출산에 대한 태도와 욕구는 중장년 세대 다르다”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서는 청년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적인 여건, 양성 평등, 정책적인 여건에 중점을 두고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결혼에 대한 인식이 추락하는 동안 독신·동거·무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늘었다. 2015~2020년 5년 사이에 20~30대의 독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39.1%에서 47.7%로 8.6%포인트 올랐다. 2020년 기준 동거와 무자녀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각각 40.6%, 44.1%로 부정적 인식보다 긍정적 인식이 더 높았다.
소득과 부채, 주거로 살펴본 20대의 생활형편은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가장 팍팍했다.
모든 세대의 소득이 늘어나는 동안 20대 소득만 유일하게 뒷걸음질 쳤다. 2021년 기준 20대 이하 가구주의 소득은 3114만원으로 2018년과 비교해 7.4% 줄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구소득은 4567만원에서 5022만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다른 연령대가 10~22% 가량 소득이 늘어난 것과 대조적이다.
반면 빚은 가장 빨리 불어났다. 2022년 기준 20대 이하 부채보유액은 가구당 5014만원으로 2018년(2591만원)보다 93.5% 늘었다. 같은 기간 30대의 부채가 8088만원에서 1억1307만원으로 39.8% 증가한 것과 비교해도 속도가 빠르다.
청년층에서 늘어난 빚 대부분은 전월세 보증금 대출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2018~2022년 사이 20대 이하의 금융자산은 36.5% 늘어 모든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20대 이하 금융자산의 대부분은 전월세 보증금(70.1%·2022년 기준)이 차지했다. 전월세 보증금 대출로 부채가 늘면서 금융자산이 증가한 셈이다. 부동산 가격이 상승해도 실질적인 자산가치는 오르지 않는 구조다.
유경원 상명대 교수(경제금융학부)는 “청년세대의 높은 부채는 결국 상대적으로 낮은 근로소득 증가와 주택 가격 불안정에 기인한 바가 크다”며 “안정적인 일자리와 근로소득의 증가, 안정적이고도 부담 가능한 주거 서비스의 제공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청년의 절반 이상은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9∼34세 청년의 가구 유형 가운데 부모와 동거하는 미혼 청년가구가 59.7%로 가장 많았다. 청년 중 25.4%는 혼자 살고 있었는데, 청년 독거가구의 40∼50%가 연립 다세대에 살았고, 반지하·지하·옥상의 거주 비율도 수도권 거주 청년 독거가구에서 3.24%로 가장 높았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강혜경 “명태균, 허경영 지지율 올려 이재명 공격 계획”
- “아들이 이제 비자 받아 잘 살아보려 했는데 하루아침에 죽었다”
- 최현욱, 키덜트 소품 자랑하다 ‘전라노출’···빛삭했으나 확산
- 수능문제 속 링크 들어가니 “김건희·윤석열 국정농단 규탄” 메시지가?
- 윤 대통령 ‘외교용 골프’ 해명에 김병주 “8월 이후 7번 갔다”···경호처 “언론 보고 알아
- 이준석 “대통령이 특정 시장 공천해달라, 서울 어떤 구청장 경쟁력 없다 말해”
- “집주인인데 문 좀···” 원룸 침입해 성폭행 시도한 20대 구속
- 뉴진스 “민희진 미복귀 시 전속계약 해지”…어도어 “내용증명 수령, 지혜롭게 해결 최선”
- 이재명 “희생제물 된 아내···미안하다, 사랑한다”
- ‘거제 교제폭력 사망’ 가해자 징역 12년…유족 “감옥 갔다 와도 30대, 우리 딸은 세상에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