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 금지, 숙이기 금지, 숨쉬기 금지? 요즘 뮤지컬 관람 문화 진짜 이래? [영상]

양진하 2023. 12. 14.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편집자주뉴스는 끊임없이 쏟아지고, 이슈는 시시각각 변합니다.

'h알파'는 단편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들 사이의 맥락을 짚어주는 한국일보의 영상 콘텐츠입니다.

마니아 관객이 주도하는 국내 공연계에선 이 같은 엄숙주의 관람 예절이 유난히 강조된다.

공연계에선 과도한 엄숙주의가 새로운 관객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휙] 시체 관극?
편집자주
뉴스는 끊임없이 쏟아지고, 이슈는 시시각각 변합니다. ‘h알파’는 단편적으로 전달되는 이야기들 사이의 맥락을 짚어주는 한국일보의 영상 콘텐츠입니다. 활자로 된 기사가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때, 한국일보 유튜브에서 ‘h알파’를 꺼내보세요.

국내 뮤지컬 공연장에서만 들을 수 있는 안내 방송 멘트가 있다. "등받이에 등을 붙이고 공연을 관람해 달라"는 것. 뒷좌석 관객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자세를 신경 써 달라는 의미다. 기본 에티켓을 넘어선 메모 금지, 큰 숨소리 금지 등 이른바 '시체관극(시체처럼 미동 없이 극에 집중해야 한다는 뜻의 자조 섞인 표현)' 문화가 최근 다시 이슈가 됐다. 마니아 관객이 주도하는 국내 공연계에선 이 같은 엄숙주의 관람 예절이 유난히 강조된다. 공연계에선 과도한 엄숙주의가 새로운 관객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관기사
• 뮤지컬을 '시체처럼 가만히' 보라고?...너무 예민한 관객들이 바꾼 공연장 풍경
(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121213050005522)

양진하 기자 realha@hankookilbo.com
이수연 PD leesuyu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