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데스크] 전쟁중에도 사라진 'CNN효과'

장용승 기자(sc20max@mk.co.kr) 2023. 12. 14. 17: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CNN 효과(CNN Effect)'라는 말이 있다.

전쟁 발발 시 소비자들이 미국 24시간 케이블 뉴스 채널 CNN을 시청하느라 쇼핑을 못 해 소비가 위축된다는 의미다.

또 글로벌 미디어 학계에선 'CNN에 나와야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는 어젠다 세팅 기능을 CNN 효과로 부른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이어서 주목도가 높을 법도 한데 CNN 효과에 대한 언급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NN, 디지털전환 뒤처져
'어젠다 세팅' 영향력 약화
글로벌 플랫폼 무한경쟁에
韓, 뉴미디어 혁신 지원하되
독점 등 부작용 대책 시급

'CNN 효과(CNN Effect)'라는 말이 있다.

전쟁 발발 시 소비자들이 미국 24시간 케이블 뉴스 채널 CNN을 시청하느라 쇼핑을 못 해 소비가 위축된다는 의미다. 1991년 걸프전쟁, 2001년 9·11테러 당시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또 글로벌 미디어 학계에선 'CNN에 나와야 사람들의 관심을 끈다'는 어젠다 세팅 기능을 CNN 효과로 부른다. 모두 CNN의 막강한 영향력에서 비롯된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요즘 CNN 효과에 대해 얘기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한창이어서 주목도가 높을 법도 한데 CNN 효과에 대한 언급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영향력이 약화된 데 따른 현상이다. 요즘은 CNN 방송을 보느라 두문불출할 필요 없이 언제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해 소셜미디어(SNS)인 X(옛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에서 전쟁 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다. 오히려 넘쳐나는 정보 홍수 속에서 가짜뉴스를 걸러내야 하는 상황이다.

새롭게 등장하는 디지털 플랫폼은 공정 보도 책임이 있는 '레거시 미디어(전통 언론)'에 비해 자유롭다. 이런 이유로 제대로 걸러지지 못한 정보들이 이들 플랫폼을 타고 쉽게 유통되는 것이 오늘날의 현실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10월 기준 국내 유튜브 사용 시간은 1044억분으로 5년 새 2.6배 늘어났다.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전 세계적으로 높은 가운데 한편으로는 이들의 장점을 접목하려는 '레거시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 노력도 한창이다.

과거에 비해 위상이 크게 떨어진 CNN은 외부 수혈을 통해 혁신에 나섰다. CNN는 뉴욕타임스(NYT)의 디지털 유료화를 성공적으로 이끈 핵심 인물인 마크 톰프슨을 지난 10월 최고경영자(CEO)로 영입했다. 더구나 눈부신 기술 발전에 따른 매체 간 경계 완화 등 '미디어 빅블러(Big Blur)' 현상으로 향후 글로벌 플랫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포털,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은 물론 최근 들어선 1분 안팎의 짧은 영상을 의미하는 '숏폼'이 급부상하고 있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직관적이고 단순한 영상을 선호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 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틱톡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 1위를 기록했다.

앞으로 주목되는 것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디어 플랫폼이다. 영국 경제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내년은 생성형 AI 상용화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AI 서비스가 봇물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AI를 접목한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가 등장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는 디지털 대전환 속에서 혁신 서비스가 등장할 수 있지만 동시에 부작용도 나타날 수 있다.

이미 '글로벌 스트림플레이션(스트리밍+인플레이션)'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구글은 광고 없이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국내 가격을 월 1만450원에서 1만4900원으로 무려 43% 인상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도 요금을 올렸다. 무료 또는 저렴한 서비스를 내놓은 뒤 이용자들이 익숙해지면 독점적 지배력을 무기로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비판이다.

디지털 전환 기반을 마련하면서 새로운 유형의 미디어가 불러올 부작용을 막을 정교한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

[장용승 디지털테크부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