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연구진, V-낸드 혁신 위한 '실마리'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삼성전자 연구진의 메모리반도체 관련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에 게재됐다.
원자 수준에서 플래시메모리의 근본적인 작동 원리를 밝혀낸 것으로, 차세대 낸드 개발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삼성전자 연구진의 메모리반도체 관련 논문이 세계적인 학술지에 게재됐다. 원자 수준에서 플래시메모리의 근본적인 작동 원리를 밝혀낸 것으로, 차세대 낸드 개발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4일 삼성전자는 공식 뉴스룸을 통해 사내 혁신센터 CSE팀이 플래시메모리의 저장 원리를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SE팀은 플래시메모리 정보 저장의 핵심 역할을 하는 비정질 실리콘 질화물에서 전자가 안정되게 저장되는 근본 원리를 밝혀냈다. 관련 논문은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적인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에 게재됐다.
현재 낸드는 셀을 수직으로 쌓아 올려 저장용량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V-낸드 기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V-낸드도 미세화를 거듭할수록, 원자 수준에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 없이는 혁신을 이뤄 내기 힘든 단계에 이르렀다.
이는 낸드의 특성 때문이다. 원자 배열이 규칙성을 띠고 있어 특징을 밝혀내는 것이 쉬운 결정과는 달리, 플래시메모리가 활용하는 물질은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배열된 비정질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CSE팀은 실리콘 질화물을 구성하는 실리콘(Si), 질소(N) 원자의 결합 방식을 분석해냈다. 그 결과, 실리콘 질화물 구조에서 전자를 안정적으로 가두면서 화학 결합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삼성전자는 이 같은 발견이 향후 플래시메모리 기술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CSE팀은 "그간 간과돼 온 원자 수준에서의 플래시메모리 작동 원리가 밝혀지면서, 엔지니어들도 기존 데이터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 V-낸드의 혁신을 가져오고, 플래시메모리를 활용하는 인공지능 등 핵심 기술의 진보를 앞당길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콜] 삼성전자 "V9 낸드, '더블 스택' 기술로 원가 경쟁력 확보"
- 삼성전자, AI 겨낭한 'HBM3E' 첫 공개..."1000단 낸드 준비중"
- 삼성·SK, 낸드 불황 속 수율 개선·신기술 도입 '총력'
- 삼성전자 "11나노급 D램 개발중… 9세대 V낸드 내년초 양산"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
- '스무돌' 맞이한 지스타 2024…주요 게임사 대표 모였다
- 설마했는데…삼성전자, '4만전자' 됐다
- 경계 사라진 비즈니스...엔비디아·어도비 등 ‘빅테크 혁신 팁’ 푼다
- 이석우 두나무-마이클 케이시 DAIS 협회장 "블록체인 산업, 외부 의존도 낮춰야"
- 아파트 주차장서 또 벤츠 전기차 화재…이번엔 국내산 배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