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한 손놀림, 정아한 발디딤…10년간 한국의 美 알린 '묵향'

장병호 2023. 12. 14. 15:3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화선지처럼 새 하얀 무대에 샛노랗고 풍성한 치마를 입은 여성 무용수들이 한 명씩 등장한다.

윤 안무가는 '묵향'이 10년간 국내외에서 사랑 받을 수 있었던 비결을 한국무용만의 독창성에서 찾았다.

윤 안무가는 "빨간색, 노란색 등 강렬한 색깔은 무용수를 가리기 때문에 한국무용에서 잘 안 쓰는데, '묵향'은 이를 대범하게 무대 위에 펼쳤다"며 "무용의 기교보다 무대에 집중해서 몰입해서 볼 수 있는 점에 포커스를 맞췄다"고 덧붙였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주년 맞이한 국립무용단 대표작
10개국 총 43회 공연…4년 만에 국내 무대
매·난·국·죽, 한 폭의 수묵화처럼 풀어내
"한국무용만의 호흡, 해외에서도 인정 받아"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화선지처럼 새 하얀 무대에 샛노랗고 풍성한 치마를 입은 여성 무용수들이 한 명씩 등장한다. 둥근 치마폭 사이로 살짝 보이는 버선발에서 한국의 미(美)가 느껴진다. 해금 산조에 맞춰 춤을 추는 무용수들. 국화 문양이 무대를 가득 채운다. 흐드러지게 핀 국화꽃이 눈앞에 펼쳐진 듯 하다.

13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국립무용단 ‘묵향’ 언론시연회. (사진=국립극장)
국립무용단 대표 레퍼토리 ‘묵향’ 중 4장 국화의 한 장면이다. ‘묵향’은 정갈한 선비정신을 상징하는 사군자(매·난·국·죽)를 한 폭의 수묵화처럼 한국무용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윤성주 전 국립무용단 예술감독이 안무하고 패션 디자이너 출신 정구호 연출이 참여한 작품으로 2013년 초연했다. 10주년 기념공연으로 14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관객과 다시 만난다.

개막 전날 열린 언론시연회에서 한국을 넘어 세계까지 사로잡은 ‘묵향’의 매력을 환인할 수 있었다. 작품은 총 6장으로 구성돼 있다. 시작과 끝을 장식하는 서무(序舞)와 종무(終舞)는 먹향을 품은 백색과 흑색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를 모티브로 삼은 2~5장은 각 상징에 따른 화려한 색채로 표현했다. 거문고, 가야금 등 전통악기와 전통 가창 형식인 정가, 여기에 콘트라베이스, 첼로, 바이올린 등 서양악기가 어우러져 색다른 분위기를 자아냈다.

이날 시연회에서 윤성주 안무가는 “‘묵향’은 은사인 최현(1929~2002) 선생님이 국립무용단에서 발표한 ‘군자무’라는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이라며 “동양적이라고 말하는 ‘매·난·국·죽’에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서무와 끝을 장식하는 종무를 추가했다. 서무는 떠오르는 아침 햇살처럼, 그리고 종무는 이 모든 것을 집대성해 희망적인 색깔로 가져가고자 했다”고 작품 구성을 설명했다.

13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국립무용단 ‘묵향’ 언론시연회. (사진=국립극장)
‘묵향’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지난 10년간 10개국에서 43회 공연하며 국립무용단, 더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한국무용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일본, 홍콩 등 아시아는 물론 프랑스, 덴마크, 헝가리, 세르비아 등 유럽까지 사로잡은 ‘묵향’은 지난 10월 미국, 캐나다 등 북미 지역에서도 현지 관객과 만났다.

윤 안무가는 ‘묵향’이 10년간 국내외에서 사랑 받을 수 있었던 비결을 한국무용만의 독창성에서 찾았다. 윤 안무가는 “전 세계의 많은 민속춤을 봤지만 한국무용의 손놀림과 발디딤은 한국에만 있는 부분이다. 해외에선 이를 새롭게 느낄 것”이라며 “무용수들이 음악의 박자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아니라 저마다의 호흡으로 춤추는 점도 해외가 인정하는 한국무용의 독창성이다”라고 설명했다.

조명과 영상 등 과감한 연출 또한 ‘묵향’의 중요한 관람 포인트다. 윤 안무가는 “빨간색, 노란색 등 강렬한 색깔은 무용수를 가리기 때문에 한국무용에서 잘 안 쓰는데, ‘묵향’은 이를 대범하게 무대 위에 펼쳤다”며 “무용의 기교보다 무대에 집중해서 몰입해서 볼 수 있는 점에 포커스를 맞췄다”고 덧붙였다.

13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국립무용단 ‘묵향’ 언론시연회에서 윤성주(왼쪽부터) 안무가, 안무지도를 맡은 단원 김미애, 정관영이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국립극장)
국립무용단 단원들에게도 ‘묵향’은 의미기 큰 작품이다. 이번 공연의 안무지도를 맡은 단원 김미애는 “‘묵향’은 현대적인 미장센이나 서양적인 복식, 의상을 활용해 동양과 서양이 절묘하게 섞인 작품처럼 보이는데, 공연을 보고 나면 이러한 요소가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하는 전통의 격이 있다”며 “관객도 처음에는 시각적으로 신선한 자극을 받겠지만, 극장 밖을 나설 때는 ‘역시 우리 것이다’라는 전통의 품격을 안고 가면 좋겠다”고 말했다. ‘묵향’은 오는 17일까지 공연한다.
13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국립무용단 ‘묵향’ 언론시연회. (사진=국립극장)
13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열린 국립무용단 ‘묵향’ 언론시연회. (사진=국립극장)

장병호 (solan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