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100만대 로봇 보급한다…'3조원+α' 투자

차대운 2023. 12. 14. 14: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 첨단로봇산업 전략 발표…로봇 국내시장 20조원·수출 5조원 목표
제조부터 농업·서비스·국방·의료·돌봄까지…'2만 로봇군경'
인구공백, 로봇으로 보완…대구에 '로봇 테스트필드' 조성도
바리스타 로봇 시연 (서울=연합뉴스) 이재희 기자 = 1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강남구 주최로 열린 '제1회 강남 로봇 플러스 페스티벌'의 한 부스에서 관계자가 바리스타 로봇이 서빙한 커피를 들고 있다. 2023.11.17 scape@yna.co.kr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2030년까지 민관이 3조원 이상을 투자해 현재 5조원대 수준인 'K-로봇' 산업 규모를 20조원 이상으로 키운다.

로봇이 가장 많이 쓰이는 제조업에서부터 농업, 물류, 서비스, 국방, 사회 안전, 의료, 돌봄에 이르는 전 산업·사회 영역에 2030년까지 100만대의 '로봇 군단'을 투입해 국내 시장을 키우고 생산인구 급감에도 대응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4일 방문규 장관 주재로 경기도 판교 만도넥스트M 사옥에서 주요 로봇 기업 경영진과 유관 협회·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첨단로봇 산업 전략회의'를 열고 이 같은 산업 육성 목표를 담은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이하 로봇 전략)을 발표했다.

회의에는 LG전자 장익환 부사장, 두산로보틱스 류정훈 대표, 티로보틱스 안승욱 대표, HL만도 조성현 대표, 하이젠RNM 김재학 대표, 코모텍 윤중석 대표, 포스코DX 윤석준 상무, CMES 이성호 대표 등 기업 경영진과 한국로봇산업협회 김완수 회장, 한국기계산업진흥회 조영철 회장 등이 참석했다.

산업부는 산업 생산성을 높이고 생산인구가 급감하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로봇 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키우기 위해 이번 로봇 전략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 및 로봇 보급 전망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중장기 청사진 성격을 띠는 로봇 전략에서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이 3조원 이상을 투자, 2021년 5조6천억원 수준이던 국내 로봇 시장을 20조원 이상으로 4배 가까이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부는 국내 시장 확대를 바탕으로 매출 1천억원 이상의 '스타 기업'이 2021년 5개사에서 30개사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

커진 국내 시장을 기반으로 로봇 수출도 2021년 1조1천억원에서 2030년 5조원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K-로봇 산업 발전을 위한 기반 강화 차원에서 2021년 기준 44.4%인 부품 국산화율을 2030년 80%까지 끌어올린다.

서보모터, 감속기, 센서, 그리퍼, 제어기, 자율이동 소프트웨어, 자율조작 소프트웨어, 인간-로봇 상호 작용 기술(HR) 등 8대 핵심 기술 확보를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년 상반기 중으로 8대 핵심 기술 확보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산업과 사회 전반 영역에 걸쳐 100만대의 로봇을 대규모로 투입해 활용한다는 양적 목표도 제시됐다.

우선 제조업, 농업, 물류, 소상공인, 산업안전 등 산업 분야에서 총 68만대의 로봇 공급을 목표로 한다.

국제로봇연맹(IFR)에 따르면 제조업 종사자 1만명당 로봇 수를 말하는 '로봇 밀도'는 한국이 1천12대로 세계 1위다.

다만 한국의 로봇은 제조업 중에서도 자동차와 전기전자 등 특정 분야에 집중됐고 다른 분야 활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정부는 농업, 물류센터, 택배 배송, 음식점 조리·서빙 등 일손 부족 문제가 커지는 분야에 로봇 투입을 확대해 생산인구 감소 공백을 메우고, 'K-로봇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30년 사이 한국의 생산인구는 약 320만명 감소할 전망이다.

이미 식당에서 더러 보이기 시작한 음식 서빙 로봇 등 식음료 자영업자를 위한 각종 로봇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30만대 보급이 목표다.

현재 서빙 로봇의 경우 가격 경쟁력이 우수한 중국산이 국내 시장의 약 50% 이상을 차지해 K-로봇 보급 확대를 위한 기업들의 기술·가격 경쟁력 확보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로봇이 만드는 학교 급식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지난 11월 22일 오전 서울 성북구 숭곡중학교 급식실에서 급식 로봇이 조리를 하고 있다.[공동취재] yatoya@yna.co.kr

산업용과 비교해 시장 형성 초기 단계인 사회 분야에서도 총 32만대의 로봇 보급이 추진된다.

인구 감소로 군이 인력 자원 부족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급식을 돕는 '취사병 로봇'을 보급하고, 감시·정찰 등 위험 임무에도 로봇을 활용한다. 경찰의 일상 순찰도 로봇이 돕는 등 국방·안전 분야에만 2만대의 '로봇 군경'이 투입된다.

사회 영역에서 성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는 돌봄과 의료 분야다. 정부는 병원, 요양원, 가정에 걸쳐 30만대의 돌봄·의료 로봇 보급을 목표로 제시하고 제도적 기반 마련에도 나선다.

보건복지부와 산업부 등 관계 부처가 재활 로봇 의료수가 반영, 의료 취약 지역의 수술 로봇 실증, 고령층 인공지능(AI) 반려 로봇 보급, 돌봄 로봇 공적 급여 제공 등을 추진한다.

'이것이 웨어러블 의료로봇'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지난 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돌봄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로봇 전시회에서 전시 관계자들이 웨어러블 의료로봇을 시연하고 있다. 2023.12.6 saba@yna.co.kr

아울러 산업과 사회 전반에서 활용될 로봇이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공 인프라도 구축된다.

정부는 2024년부터 2028년까지 5년간 대구 달성군 16만6천973㎡ 부지에 약 2천억원을 들여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를 조성한다.

물류, 상업,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실제 환경과 비슷하게 만든 '가짜 도시'에서 개발 단계 로봇이 돌아다니며 서비스 품질, 안전성, 신뢰성 실증을 진행하는 공간이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감도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또 정부는 2030년까지 로봇 산업 인력을 1만5천명 이상 양성해 로봇 산업 발전을 뒷받침하기로 했다.

방문규 장관은 "로봇 산업이 글로벌 수준 기술력을 확보하고 새 성장 동력으로서 'K-로봇 경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투자 확대와 해외 신시장 창출 등을 위해 범정부 정책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밝혔다.

ch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