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정책전환 신호탄…내년 3월 인하 급부상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시장이 고대하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를 향한 정책 전환이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연준이 지난 9월과 11월에 이어 3회 연속 동결을 선택하고 내년에 일련의 금리 인하를 예고하면서, 공격적인 금리인상 사이클이 끝났다는 가장 분명한 신호를 보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현지시간 13일 진단했습니다.
연준은 치솟는 물가를 잡겠다며 지난해 3월부터 지난 7월까지 11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했습니다.
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이날 올해 마지막 정례회의에서 만장일치로 연방기금 금리 목표 범위를 5.25~5.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 금리 수준은 2001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회의에서는 또 2021년 3월 이후 처음으로 중간값 추정치(median estimate)를 기준으로 추가 금리 인상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연준이 주목해 보는 인플레이션과 고용과 관련해 이들 리스크가 이제는 좀 더 나은 균형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셈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물가 압력 재발 시 다시 금리를 올릴 준비가 돼 있다고는 했지만, 인플레이션이 목표치 2%를 향해 계속 하락하는 만큼 이제 금리 인하 시점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가까운 미래의 금리 인하와 관련해 파월 의장이 특별한 거부감을 보이지 않고 덩달아 연준이 인하 쪽으로 정책을 전환했다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시장에서는 국채금리가 급락하고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시장 참가자들은 내년 3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금리 인하가 거의 확실하다는 쪽에 더 무게를 실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뉴욕 증시 마감 무렵 금리선물 시장은 연준이 내년 3월 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인하할 확률을 78.3%로 반영했습니다. FOMC 결과 발표 직전에는 절반에 못 미치는 46.7%였습니다.
또 내년 5월 회의에서 금리를 현 수준보다 낮게 가져갈 확률이 97.5%로 반영되면서, 내년 5월 이전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모양새입니다.
파월 의장과 FOMC 위원들이 더 신속하고 큰 폭의 인하를 기대하는 시장에 굳이 등을 돌릴 필요가 없었다는 것입니다.
연준의 분기별 전망에 따르면 내년에 0.75%포인트 인하를 예상해 0.25%포인트씩 3회 인하를 시사했는데, 이는 지난 9월 전망 때보다 더 빠른 인하 속도입니다.
또 내년 말 금리에 대한 평균 기대치는 4.6%로 기존 5.1%에서 크게 낮춰잡았지만, FOMC 위원별로 기대치는 다양했습니다.
FOMC 위원 19명 중 3회 인하를 예상한 위원은 6명입니다. 이보다 적은 인하를 내다본 위원은 8명, 3회보다 많은 인하를 예상한 이는 5명이었습니다. 폭이 어떻든 모두 인하 쪽에 손을 들어준 셈이라고 로이터통신은 전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위원들의 전망이 미리 정해진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지만, 이번 회의에서 적절한 금리 인하 시점에 대해 논의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C타입' 충전단자 아니면 과태료 1천만원…속타는 애플
- 애 낳으면 5억 파격 대출…올해 애 낳았는데, 대출 될까요?
- 중소기업 취업 기피 이유는 '연봉'…대기업 절반 수준
- '방구석 외톨이' 청년 54만명…일자리·친구도 없다
- 김치찌개 언감생심, 김밥도 부담스럽네…외식비 또 올랐다
- '유족연금' 받는 나이 넓어진다…19세 이상∼25세 미만으로 확대
- 내년 '반도체의 계절' 기대감… 삼성전자 장중 52주 신고가
- 한은 "美 연준 정책 전환 기대 강화…시장 변동성 확대될 수도"
- 넷플릭스, 6개월마다 시청시간 공개…"올 상반기만 1천억 시간"
- 반포 미도아파트 '재건축 허가'…최고 49층 이하 1천739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