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때문에 캐럴 못 튼다?…길거리서 안 들리는 이유는[팩트체크]
해외에선 여전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거리에서 캐럴을 쉽게 들을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선 그렇지 않다. 이와 관련해 '저작권'에 대한 우려로 캐럴이 사라졌단 논란이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한음저협)가 최근 해명에 나섰다.
캐럴이 거리에서 사라진 건 소음·에너지 규제가 주요 이유란게 한음저협의 설명이다. 거리가 아닌 매장 등 실내 공간에선 캐럴을 포함한 모든 음악을 적법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음저협의 해명은 대체로 사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영세 업장 뿐 아니라 대형 상가 등에선 여전히 '저작권' 이슈를 걱정하고 있는 것도 맞다. 법적 분쟁이 십여년 전부터 급격히 늘면서 언론매체를 통해 크게 보도된 바 있고, 관련 법령도 음악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방향으로 개정되고 있어서다.
한음저협은 소규모 매장에 대해선 저작권료가 없단 취지로 적극적인 해명에 나섰지만 업종과 매장 크기에 따라 실내에서 음악을 틀 경우 저작권료를 내야하는 곳도 분명히 존재한다. 저작권료 납부의무가 있는 업종에 대해 한음저협은 지난 12일 낸 자료를 통해 '카페, 대형마트, 피트니스 센터 등'이라고만 밝혔지만 이보단 좀 더 많은 곳에서 저작권료 납부의무가 있다.
2018년 8월 문화체육관광부가 창작자의 음악 공연권의 행사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저작권 시행령 제11조를 개정했다. 이때 저작권료 납부 대상이 '경마장, 골프장, 스키장, 항공기, 선박, 열차, 호텔, 콘도미니엄, 카지노, 유원시설, 대형마트, 백화점, 전문점, 쇼핑센터 등'으로 규정돼 있던 게 '커피전문점 등 음료점, 생맥주 전문점 및 유흥주점, 무도학원, 체력단련장, 복합쇼핑몰 및 그 밖의 대규모 점포'로 확대됐다.
아울러 2018년 시행령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정부가 영업장 면적에 따라 이용료율을 차등 적용하고 50㎡(약 15평) 미만 업장에 대해선 이용료를 면제하는 것도 함께 통과시키자 한음저협은 이에 불복해 소송을 냈다가 패소하기도 했다.
저작권 단체들의 적극적인 소송전략은 현 법령에 명시되지 않은 다른 업종으로 번질 수 있다. 법전문가들은 대부분 저작권료를 내고 정당하게 음악을 트는 것을 권유하고 있다.
추가열 한음저협 회장은 "대부분의 영업장은 저작권료 납부 의무가 없는 것이 현행 저작권법"이라고 전제한 뒤 "소음규제와 정부 에너지 정책 등에 저촉되지 않는 선에서 실내 캐럴 음악을 적극 사용해달라"며 "모두가 어려운 시기에 음악으로 작은 위안을 얻어 시민들이 따뜻한 연말을 보내길 바란다"고 말했다.
유동주 기자 lawmaker@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82년생 '유부남' 교수, 01년생 여제자 불륜…아내가 폭로한 카톡에 '발칵' - 머니투데이
- '엄마 카드'로 모텔 데이트…풍자 "부모가 성생활까지 지원?" 분노 - 머니투데이
- 시동생한테 "나 사랑해?" 말하는 형수…나만 불편 한가요? - 머니투데이
- 선우용여 "치매 두려움 커…남편, 파킨슨병과 싸우다 세상 떠나" - 머니투데이
- "유재석은 300억원 가능하지 않냐" …조세호 과거 발언 재조명 - 머니투데이
- '17%' 尹 지지율, 기자회견 반영 시 추가하락?…반전 만들려면 - 머니투데이
- "거울 안보여" 엘리베이터 게시물 뜯은 중학생 송치?…국민 질타에 결국 - 머니투데이
- 서동주, 경매로 산 집 알고보니…"7~8년 후 재개발" 겹경사 - 머니투데이
- 껴안고 죽은 폼페이 일가족 화석?…2000년만에 밝혀진 진실 - 머니투데이
- "그렇게 중요한 사람 아니야"…김구라, 조세호 결혼식 불참 왜?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