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의 악순환’…세계 최빈국들 선진국서 빌린 돈 4,600조 원

김학재 2023. 12. 13. 17: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의 저개발국들이 지난 10년간 선진국 투자자들로부터 3조 5천억 달러(약 4천612조원)의 돈을 빌렸으며, 채무국들은 식량 가격 상승과 고금리 등으로 사정이 더 어려워지면서 역대 최악의 부채 상환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현지시간 13일 보도했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인 33억명이 교육과 의료보다 부채 상환에 더 많은 돈을 쓰는 나라에서 살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와 남미, 아시아의 저개발국들이 지난 10년간 선진국 투자자들로부터 3조 5천억 달러(약 4천612조원)의 돈을 빌렸으며, 채무국들은 식량 가격 상승과 고금리 등으로 사정이 더 어려워지면서 역대 최악의 부채 상환 부담에 시달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현지시간 13일 보도했습니다.

나이지리아의 경우 2022년 부채 상환액이 75억 달러로 이 나라 연간 재정 규모보다 9억 달러 많습니다. 따라서 채무상환을 위해 다시 돈을 더 빌려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나이지리아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선진국 투자자들에게 '개발가능성 높은 국가'(프런티어 마켓)라는 이름으로 포장돼 분류된 저개발국들이 2024년에 상환해야 하는 채무가 2천억 달러(약 263조원)에 달합니다.

볼리비아, 에티오피아, 튀니지와 그 외 10여개국이 발행한 채권들은 이미 채무 불이행 상태에 있거나, 그에 준하는 수준입니다.

이 국가들은 내수 시장이 작은 데다 병원이나 도로, 학교 및 기타 긴요한 분야에 쓸 돈을 조달하려면 글로벌 금융기관에서 빌리는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황은 더 심각합니다.

과거에는 돈을 빌리기가 쉬웠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고금리를 오랜 기간 가져가겠다고 밝힌 뒤로 이들의 자금줄은 씨가 말랐습니다. 내년에는 더 위험해졌습니다.

민간은행과 각국 중앙은행, 투자 매니저, 보험사 등 여러 금융기관을 대표하는 국제금융협회(IIF) 소냐 깁스 국장은 "글로벌 금리가 매우 높은 수준으로, (가장 안전하다고 평가되는) 미국 국채를 사도 금리를 4~5% 주는 마당에 이런 저개발국에 투자할 사람을 찾기는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코로나와 같은 주요 사건이 위기를 촉발시켰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선진국들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찍어냈고, 저개발 국가들은 경제운용을 위해 돈을 빌려야 했습니다. 선진국의 투자자들은 이자를 더 많이 주는 곳을 찾아 돈을 빌려주는 손쉬운 방법을 택했습니다.

하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터지면서 식량 가격이 치솟았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전 세계적으로 물가도 급등했습니다.

IIF가 '프런티어 마켓'으로 분류한 42개 국가의 정부 및 기업·가계부채는 올해 3조5천억 달러에 달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10년 전보다 약 2배 증가한 수치입니다. 이들 국가에서는 부채 상환을 위해 주요 분야 예산 지출도 줄이고 있습니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인 33억명이 교육과 의료보다 부채 상환에 더 많은 돈을 쓰는 나라에서 살고 있습니다.

'프런티어 마켓'에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도 고통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프랭클린 템플턴, 티로웨 프라이스 그룹이 관리하는 펀드들이 해당합니다.

'프런티어 마켓' 전용 주식 펀드를 관리하는 스웨덴 툰드라 폰더 AB의 마티아스 마틴슨은 "지금은 이들 국가에 30년 만의 최악 위기"라고 평가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김학재 기자 (curator77@gmail.com)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