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빈의 마음으로 하는 연기를 정우성이 애써 들어준다는 건('사말')
[엔터미디어=정덕현] "공연하면서 알았어요. 대화가 잘 통하지 않는데 왜 위로받는 느낌이 드는지. 이렇게 내가 별거 아닌 말을 해도 한 단어, 한 단어 놓치지 않으려고 애쓰면서 들어주는 사람이니까." 지니TV 오리지널 드라마 <사랑한다 말해줘>에서 정모은(신현빈)은 연극을 보러와준 차진우(정우성)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다친 배우 대신 갑작스레 오르게 된 무대. 정모은은 그 낯섦에 불편함을 느낀다. 그 순간 객석에 있는 차진우가 정모은에게 수어로 말한다. '잘 해낼 거라고 믿어요'라고. 정모은은 한결 편안해진 모습으로 연기를 하게 된다.
이 장면은 <사랑한다 말해줘>가 그리고 있는 사랑과 소통 이야기의 특별한 결을 보여준다. 소리 내어 말하는 것이 당연한 사람인 정모은과 들리지 않는 것이 당연한 사람인 차진우의 사랑. 그들은 너무나 다른 세계에 살고 있다. 그러니 그 일상적 관계조차 편할 수가 없다. 정모은이 애써 배운 어설픈 수어로 소통하려 해도 엇나가기 일쑤고, 보다 정확한 표현을 전하기 위해 핸드폰에 글자를 찍어가며 소통해야 한다.
하지만 사람이 사람을 만나 사랑하고 소통하는 것이 반드시 말을 통한 표현일 필요는 없다고 이 장면은 말해준다. 정모은의 말처럼, 듣지 못하는 차진우는 그렇기 때문에 더 열심히 정모은이 말할 때 그 입모양을 읽으려 집중한다. 한 단어 한 단어를 읽어내려 한다. 말이 너무나 익숙해 아무렇게나 내뱉고 아무렇게나 지나치곤 하는 우리에게 차진우의 '애쓰는 집중'은 그 마음을 읽게 만든다. 한 단어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을.
<사랑한다 말해줘>가 정모은이라는 인물을 굳이 스튜어디스 일을 포기하고 대신 연기의 꿈을 시작하려는 배우로 세운 것도 그런 의미가 있다. 그는 배우라고는 하지만 단역, 엑스트라로 불린다. 그래서 배역의 이름도 없고 심지어 대사도 거의 없다. 그러니 그 세계에서는 마치 차진우처럼 침묵 속에 있는 사람 같다. 대사가 없어도 배역의 이름도 없어도 열심히 자기 역할을 해내려는 마음이 있고, 그렇게 꿈을 향해 가는 진심이 있지만 그걸 알아주는 이는 많지 않다.
하지만 듣지 못하는 침묵의 세상에 사는 차진우는 정모은의 연기를 말이 아닌 몸의 언어로 그 마음을 들을 줄 아는 사람이다. 그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은 그래서 말이 아니다. 누군가의 몸이 하는 말을 애써 들어준다. 제주도 어느 바닷가 마을에서 하염없이 바다를 보다가 끝내 생을 마감한 어느 사내가 온몸으로 전하는 말을 들을 줄 알고, 몸이 아파 친구와 함께 학교 가는 게 소원이었지만 끝내 먼저 세상을 떠나버린 아이가 생전에 전한 말을 들을 줄 안다.
그는 부재한 것이 없는 게 아니라는 걸 알고 있다. 침묵한다고 말이 없는 것이 아니고, 하지 못한다고 하고 싶은 마음이 없는 게 아니라는 걸 안다. 또 사라졌다고 사라진 게 아니라는 것도. 그래서 이제는 부재한 그들을, 그들이 평소 마음이 머물던 그곳에 벽화로 되살려 놓는다. 그 마음들이 영원히 존재한다는 걸 새겨 넣는다. 한 단어 한 단어 애써 들으려하듯, 붓 한 획 한 획에 애를 쓰며.
하지만 세속적인 세상은 눈에 보이는 것들로만 함부로 재단하고 평가하고 차별한다. 오랜만에 스튜어디스 제복을 입고 공항에서 그 역할을 연기하는 정모은을 본 옛 회사 동료 스튜어디스는 단역에 대사 하나 없는 그 모습을 보고 실망한다. 그 모습 이면에 존재하는 정모은의 연기에 대한 꿈이나 노력 같은 걸 보지 못한다. 볼 수 있지만 보지 못하고 들을 수 있지만 듣지 못하는 세상이다.
반면 진정한 예술의 세계는 이런 속물적 관점을 벗어나 보지 못해도 볼 수 있고 듣지 못해도 들을 수 있다. 소리 내어 말하는 것이 당연한 사람과 들리지 않는 것이 당연한 사람이 만나 그 불편할 수 있는 장벽을 넘어설 수 있는 건 그래서 이들이 세속적인 세상 바깥으로 나와 있기 때문이다. 굳이 드라마가 정모은을 연기의 세계에 꿈을 가진 인물로 세우고, 차진우를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 세운 이유다.
예술은 속물적 세상에 무뎌진 우리의 감각들을 다시금 깨워주는 힘이 있다. 그래서 정모은과 차진우가 하는 사랑과 소통의 과정은 바로 그 예술이 가진 힘을 보여준다. 두 사람이 서로 만나고 마음을 나누고 사랑하는 과정을 통해, 속물적 세상에 무뎌졌던 우리의 눈과 귀를 다시 열어주고 단지 눈에 보이는 것과 귀에 들리는 것이 아니라, 그 뒤에 놓인 마음들을 읽게 해준다. 사랑스런 것들 앞에서조차 그걸 보지 못하고 사랑한다 제대로 말하지 못하는 우리에게 새로운 눈과 귀를 열어준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ENA]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시청자들이 배우 이성민을 걱정할 정도라는 건(‘운수 오진 날’) - 엔터미디어
- 연말 호사가들이 연예대상 점찍은 기안84, 그가 발휘하는 복리의 마법 - 엔터미디어
- 이영애가 지휘하는 ‘마에스트라’는 김명민과는 사뭇 다르다 - 엔터미디어
- 로이킴, 견뎌냄과 버텨냄의 노래가 주는 위로 - 엔터미디어
- 이번엔 최수종이다, ‘고려거란전쟁’이 점입가경의 몰입감을 만드는 방식 - 엔터미디어
- 예능의 오랜 금기 깬 나영석 사단의 영민한 선택(‘콩콩팥팥’) - 엔터미디어
- 모처럼 SBS가 감사인사를 받을 만한 수작을 만들었네요(‘고래와 나’) - 엔터미디어
- 최수종의 ‘고려거란전쟁’과 로운의 ‘혼례대첩’, KBS 살린 사극의 저력 - 엔터미디어
- 전 세계 혹평 쏟아진 ‘스위트홈2’, 어째서 그 좋던 세계관을 망가뜨렸나 - 엔터미디어
- 이경규의 깊은 한숨 그리고 그의 분노와 맞닿아 있는 것(‘코미디로얄’) - 엔터미디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