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수 역대 최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혼부부 수가 201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 자녀 수 또한 0.65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9.9%(30만8634쌍)로 신혼부부 수가 가장 많았다.
신혼부부 81만5000쌍의 평균 자녀 수도 0.65명 역대 최저치로 집계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혼부부 수가 2015년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 자녀 수 또한 0.65명으로 가장 낮은 수치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신혼부부 수는 103만2000쌍으로 전년보다 6만9000쌍(6.3%) 감소했다. 이때 신혼부부는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하고 이를 유지 중이며, 부부 중 1명 이상이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부부를 뜻한다.
연간 신혼부부 수는 2018년 132만2000쌍에서 2019년 126만쌍, 2020년 118만4000쌍, 2021년 110만 1000쌍 등으로 매년 감소 추세다. 이 흐름이 이어진다면 올해는 연간 신혼부부가 100만쌍 이하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혼인 연차별로 보면 1년차 18만5830쌍(18.0%), 2년차 18만7683쌍(18.2%), 3년차 20만4883쌍(19.8%), 4년차 22만1351쌍(21.4%), 5년차 23만2506쌍(22.5%) 등이다.
1~5년 모든 연차에서 전년 대비 신혼부부 수가 감소했다. 감소 폭은 2년차가 -10.4%로 가장 컸으며, 이어 3년차(-9.3%), 4년차(-6.5%), 5년차(-2.1%), 1년차(-3.2%)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비혼과 만혼이 늘면서 1년차 신혼부부의 감소 폭이 큰 편이지만, 코로나19로 늦어진 결혼의 상당 부분이 지난해 이뤄지면서 예년보다 낮았다고 설명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9.9%(30만8634쌍)로 신혼부부 수가 가장 많았다. 이어서 서울 17.8%(18만4804쌍), 인천 6.1%(6만2844쌍), 경남 5.8%(5만9601쌍), 부산 5.6%(5만8215쌍) 순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81만5000쌍의 평균 자녀 수도 0.65명 역대 최저치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8년 0.74명, 2019년 0.71명, 2020년 0.68명, 2021년 0.66명 등으로 꾸준히 감소해 왔다. 혼인 연차별로는 평균 자녀 수는 1년 차 0.21명, 2년 차 0.42명, 3년 차 0.63명, 4년 차 0.83명, 5년 차 1.01명이다.
혼인 3년 차부터 '자녀 있음' 비중이 55.8%로, '자녀 없음'(44.2%)을 앞섰다. 유자녀 비중은 혼인 1년 차 20.2%에서 5년 차 75.3%로, 혼인 연차가 높아질수록 비중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맞벌이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에 비해 낮았다.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49.2%,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의 유자녀 비중은 60.9%에 달했다.
김민주 기자 minjoo@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