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같은 세상, 서로가 서로의 낙타가 되어

류재민 2023. 12. 13.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하 30도에서 영상 40도를 오르내리는 사막을 견디며 살아가는 낙타들은 더울 때면 서로 몸을 기댄다고 한다.

사막의 공기보다 낙타의 몸이 더 시원하기 때문에 서로 몸을 포개 체온을 내리는 것.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장애였지만 두 사람은 서로를 절대적으로 의지하고 함께 고난을 헤쳐 나감으로써 사막 같은 세상에 용기를 주고 간 인물들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 공연 장면. 국립극장 제공

영하 30도에서 영상 40도를 오르내리는 사막을 견디며 살아가는 낙타들은 더울 때면 서로 몸을 기댄다고 한다. 사막의 공기보다 낙타의 몸이 더 시원하기 때문에 서로 몸을 포개 체온을 내리는 것. 직접 목격한 적은 없지만 팍팍한 세상을 견뎌내는 마음들이 참 따뜻하다.

지난 10일 서울 중구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막을 내린 음악극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는 낙타처럼 서로가 서로에게 절대적으로 의지해야 했던 헬렌 켈러(1880~1968)와 앤 설리번(1866~1936)의 실화를 그린 작품이다.

생후 19개월에 시력과 청력을 잃은 헬렌, 8살에 시력을 잃고 여러 아픔을 극복한 앤의 이야기는 듣는 이에게 큰 감동을 준다.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장애였지만 두 사람은 서로를 절대적으로 의지하고 함께 고난을 헤쳐 나감으로써 사막 같은 세상에 용기를 주고 간 인물들이다.

공연은 자막과 수어 통역을 통해 장애인들도 알차게 관람할 수 있게 했다. 국립극장

위대한 인물들일수록 그들의 치열했던 삶은 쉽게 미화되곤 한다. 그러나 ‘나는 재미있는 낙타예요’는 앤이 겪은 어려웠던 성장 과정이나 통제가 불가능한 헬렌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그렸다. 헬렌이 TV 프로그램에 나오는 금쪽이처럼 떼쓰는 것도 만만치 않고 그런 헬렌을 어떻게든 다독여보려는 앤의 모습은 안쓰럽기까지 하다.

앤이 헬렌에게 극도의 인내심을 가지고 손바닥에 글씨를 쓰는 방식으로 언어를 가르치려 했던 것처럼 작품은 이들의 고군분투를 솔직하게 보여준다. 도무지 말을 듣지 않던 헬렌이 물을 만지다 처음으로 ‘water’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장면은 내내 마음 졸이며 두 사람을 지켜보던 관객들도 ‘드디어 됐다’는 생각을 하게 할 정도로 기쁨으로 다가온다. 그저 불쌍해서 연민을 가져야 하는 인물들이 아닌 독특한 개성과 매력을 지닌 인물로 표현해 극의 몰입감을 높였다.

2인극이지만 무장애 공연을 위해 무대에는 여러 사람이 등장한다. 국립극장 제공

극본을 쓴 홍단비 작가는 “두 사람을 조사하면 할수록 너무 다른 사람이더라. 서로 평생 한 번도 못 만날 거라 생각했는데 기꺼이 만나 함께했다”면서 “작품을 통해 함께한다는 표현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지 않았나 생각했다. 진짜 함께하려면 많은 고민과 치열한 분투가 필요한데 이 작품을 통해 그걸 전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꽤 유명한 이야기라 소재 자체에 새로울 것은 없지만 ‘무장애 공연’이라는 점이 이 공연을 더 특별하게 만들었다. 두 배우와 함께 수어 통역사가 무대에 올라 대사를 전했고 화면에는 어떤 상황인지 자세하게 자막도 띄웠다. 음악극답게 운율 있는 대사와 타악·전자음악·마림바·고수 등 4명의 연주자가 들려주는 소리도 놓칠 수 없는 재미 요소였다. 헬렌이 무언가를 깨달아가는 과정 역시 시각화해서 나타내는가 하면 공연 프로그램북도 전부 점자일 정도로 세심하게 신경 썼다. 헬렌과 앤 모두 장애인이었기에 이런 배려가 더 특별하게 다가왔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