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 73.2% "韓 경제, 장기간 1~2%대 저성장 지속"…회복은 언제?

장유미 2023. 12. 12.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율·물가, 2024년 하반기 또는 2025년에 안정될 듯…"법인세·상속세 부담 낮춰야"

[아이뉴스24 장유미 기자] 경제전문가 10명 중 7명은 우리나라 경제가 장기간 1~2%대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환율과 물가가 안정화될 시기에 대해선 대부분 내년 하반기나 2025년이 될 것으로 봤다.

한진의 인천 컨테이너터미널 전경. 사진 내용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한진]

1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경제·경영학과 교수 211명을 대상으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3.2%는 우리 경제가 장기간 1~2% 대의 저성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 2%대에 진입하고 2025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4% △'우리 경제가 빠르게 회복해 내년부터 평균 3%대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란 응답은 1.4%에 그쳤다.

최근 어려운 경제 상황의 주된 원인에 대해 응답자의 50.5%는 '이-팔,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고물가 등 전세계적인 경제·정치 리스크'라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 23.8% △과도한 규제 등 글로벌 스탠다드에 뒤처진 법·제도 19.4%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다만 '기업의 혁신 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은 6.3%에 불과해 기업의 혁신 노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불이된다.

한국 경제 성장 전망 그래프[그래프=경총]

또 경제전문가들은 '2024년 하반기 또는 2025년'에 환율(63.5%)과 물가(72.1%)가 안정화될 것으로 봤다.

특히 최근 1300원 수준으로 높아진 환율이 기존 변동 범위(1050원~1250원) 안에서 안정화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4년 하반기'로 예상한 응답이 32.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25년(30.8%)'으로 나타났다. 환율이 '기존 범위에서 안정화되지 않고 변동 범위 자체가 상향 조정될 것'이란 응답도 26.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관련해 응답자의 61.1%는 '불확실한 경제 상황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당분간 현행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가계부채 관리, 자본유출 방지, 고물가 억제 등이 더 시급하므로 기준금리를 더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25.6% △'소비 촉진, 투자 활성화 등 경기 부양과 성장 제고를 위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은 13.3%로 각각 집계됐다.

우리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2%)에 도달하는 시기에 대해서는 '2025년' 응답이 37.0%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2024년 하반기 35.1% △2026년 이후 20.4%로 나타났다. 2024년 상반기에 물가가 2%대에 도달할 것이란 응답은 7.6%에 불과했다.

법인세율 최고 세율 설문 내용.[그래프=경총]

경제전문가들은 법인세와 상속세 최고세율에 대해 대부분 지금보다 낮춰야 한다고 봤다. 법인세제에 대해서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고세율을 현행(24%, 중앙정부 기준) 수준보다 더 낮춰야 한다는 응답이 66.1%로 가장 많았다. 다만 전문가 중 29.7%는 '중장기적으로는 더 인하하되, 당분간은 현 수준에서 유지해야 한다'고 응답해 현 재정 상황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법인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15.8% △지금보다 인상해야 한다는 18.2%에 그쳤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횡재세(windfall profits tax)'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57.8%가 '특정 시점의 높은 이익을 이유로 횡재세를 걷는 것은 시장 원칙에 맞지 않는 조치로 부과해서는 안된다'고 답했다. 반면 △최근 상황에서 일부 업종의 높은 이윤에 대해서는 (횡재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27.0% △상생 강화 차원에서 더 포괄적으로 부과돼야 한다는 15.2% 등으로 조사됐다.

상속세 최고세율을 낮추거나 폐지하고 자본이득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응답은 70.6%로 나타났다. 반면 상속세 최고세율을 현행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17.1%, 인상해야 한다는 응답은 12.3%에 불과했다.

/장유미 기자(sweet@inews24.com)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