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요소'에 화들짝, 물류비 지원‧국내생산 검토 나선 정부…실효성은 '글쎄'
베트남 등 요소 수입 다변화 위해 운송비 한시적 지원
국내 생산 재개 검토, '가성비' 관건…장기 대책 마련 필요
중국발(發) 요소 수출 통제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주요 원자재 수급을 위한 공급망 점검에 나섰다.
중국 외 베트남 등 제3국에서 요소를 수입하는 민간 기업에 한시적으로 운송비 일부를 지원하는 방안과 국내 생산 재개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중국산 원자재의 '가격 경쟁력'을 고려하면 장기 대책으론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공급망 장관회의 개최…내년 3월까지 중국 '요소 통제' 전망
지난달 말 우리나라의 관세청에 해당하는 중국 해관총서가 우리나라로 운송될 예정이었던 요소 수출 보류 조치에 나선 직후 우리 정부는 대책 마련에 속도를 냈다. 정부는 이번 수출 통제가 정치적 배경에서 비롯된 게 아닌, 중국 내부 수급 불균형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민간 시장에선 '사재기 심리'가 발생하는 등 들썩였다.
3개월치 요소 재고…1인당 요소수 구매 제한 등 수요관리
먼저 수요 측면에선 국내 요소 물량의 사재기 방지에 역점을 뒀다. 산업용 요소는 통상 3개월치 분량의 재고를 유지하는데, 3개월이 지나면 요소가 변질되면서 상품성이 급격히 하락하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국내 수급 상황을 매일 모니터링하는 동시에 매점매석 고시, 긴급수급 조정조치 등을 검토 중이다. 특정 소비자들의 '사재기'를 막기 위해 화물·버스·건설기계 업계와 주유소에 1인당 요소수 구매물량 제한 등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베트남 등 수입 다변화, 운송비 일부 지원…공급 확대책
먼저, 올해 말 종료를 앞둔 요소 할당 관세를 오는 2024년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아울러 오는 2024년 4월까지 국내로 들어오는 물량에 대한 해상 운송비 일부를 한시적으로 민간 기업들에 지원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6일 산업부는 요소 수급 대책 브리핑에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등 중국 외 제3국 수입 다변화를 위해 운송비 지원책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차량용에 이어 공업용 요소까지 범위를 넓히면 지원에 필요한 예산은 연간 약 26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그러나 당시 기획재정부는 구체적인 지원 예산 등은 검토한 적이 없다고 부인하는 등 부처 간 엇박자 논란이 일었다. 당시 정부는 해당 브리핑 직후 별도 설명 자료에서 "기업이 대체 수입처를 찾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담에 대해 정부지원 요청 및 건의가 있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결정된 바 없으며 정부는 다양한 지원방안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결과적으로는 불과 닷새 만에 운송비 지원책으로 최종 수렴된 셈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우리 기업의 중국산 요소 의존도는 지난 1~10월 기준 91.8%에 달했다. 지난 2021년 요소수 대란 이후 다변화에 나서면서 중국 의존도는 2021년 83.4%에 이어 지난해 71.7%까지 낮아졌지만 올 들어 재차 급등한 것이다.
요소는 희소한 원자재가 아니기 때문에 베트남, 중동 등 제3국에서 구할 수 있지만, 중국에 비해 거리가 멀기 때문에 비싼 물류 비용을 감당해야 한다. 기업들 입장에선 수익성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약 10년 전 접었는데, 요소 국내생산 재개 검토…가성비 관건
일단 정부는 국내 생산시설 구축을 위해 오는 2024년 1월부터 자립화를 목표로 국내 생산 방안, 적합성 등 분석 용역을 진행한다. 용역 결과에 따라 국내 생산 재개 여부는 추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훈 한국무역협회 공급망분석팀 팀장은 이날 통화에서 "베트남 등 제3국으로부터 수입이나 국내 생산 재개 등 모든 게 결국 '가격 대비 성능'의 문제로 귀결된다"며 "특히 우리나라는 규모의 경제 측면에선 일본처럼 자국 내 수요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기업들은 향후 값 싸고 질 좋은 중국산 요소가 재차 풀릴 경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지난 8일 국회에선 요소를 비롯해 경제 안보 품목의 공급망 관리 역할을 규정한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공급망법)이 통과됐다. 그러나 정작 해당 법안의 시행 시기가 6개월 후인 오는 2024년 6월이라는 점에서 실효성 논란도 제기된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는 이날 통화에서 "공급망 기본법이 통과됐지만 6개월 후에야 효력이 있다"며 "중국의 요소 통제 사태 등을 보면, 한 달 앞조차 내다보기 힘들다. 공급망 대책의 시급성을 고려하면 위원회 구성이라도 서둘러야 한다"고 말했다.
- 이메일 :jebo@cbs.co.kr
- 카카오톡 :@노컷뉴스
- 사이트 :https://url.kr/b71afn
CBS노컷뉴스 이정주 기자 sagamore@cbs.co.kr
▶ 기자와 카톡 채팅하기▶ 노컷뉴스 영상 구독하기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한민국 합계출산율은 향후 상승한다?
- '담배나 사' 핀잔에 5분간 80회 잔혹 폭행…무술대회 입상자였다
- "국운 건다"던 엑스포, '로펌 겸직' 위해 사무총장 비상근
- [단독]위안부 연구도, 다큐도 "안 돼"…尹정부 '조총련' 접촉 막았다
- '김·라면' 어떻게 세계인 입맛 사로잡았나…향후 전망은?
- 젤렌스키 "전쟁터에 자식 보낸 분은 이해할 것"…지원 호소
- 中 경기 위축 우려 속 시진핑 주재 중앙경제공작회의 주목
- '中 요소'에 화들짝, 물류비 지원‧국내생산 검토 나선 정부…실효성은 '글쎄'
- 금연구역 비웃는 도심 너구리굴…'흡연부스'도 쉽지 않아
- 초등생 학부모 채팅방에 "아이들 죽인다"…범인은 고교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