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수 동국대 교수 “초등학생부터 체계적 인파 사고 교육해야” [차 한잔 나누며]
이태원 압사 참사 사회에 경종
“지자체 일부선 조례 개정 나서
짧은 시간 굉장히 많은 성과내
주최 누구이든 안전교육 필수
국가·경찰, 안전에 적극개입을”
“세월호 참사 이후에 생존 수영 교육이 의무화됐죠. 인파 사고 관련해서도 어릴 때부터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150여명이 희생된 ‘10·29 이태원 압사 참사’ 이후 김연수 동국대 교수(융합보안학과)의 지난 1년여 시간은 꽤나 바쁘게 흘러갔다. 참사 직후 대책 마련에 들어간 경찰청의 인파 관리 매뉴얼 자문을 맡았고, 이후에도 우리 사회의 안전관리 과제를 여러 관점에서 연구하고 있다. 지난 6일 서울 중구 동국대에서 만난 김 교수는 인파·안전 대응 체계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조목조목 짚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그동안 못했던 것을 정리한 측면이 있고 짧은 기간에 굉장히 많은 성과를 낸 건 사실”이라며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일부에선 조례 개정을 통해 주최자 없는 행사를 관리할 수 있도록 먼저 근거를 만드는 등 노력하는 모습이 보인다”고 말했다.
이를 모르는 상태에서 행사를 기획할 경우 행사 자체에 초점이 맞춰지고 참여자의 안전은 뒷전으로 물러나게 된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자체가 행사 기획 단체 등과 계약을 맺을 때 예산의 몇 퍼센트 이상은 안전에 활용하도록 한다든지 행사 실무 책임자는 안전 교육을 반드시 이수하게 한다든지 하는 내용을 넣는 것도 고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행사의 주최자를 떠나 국가와 경찰이 국민 안전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이는 올 초 이태원 사고 현장에 갔다가 그가 시민 입장에서 경찰에 대해 느낀 아쉬움이 반영된 것이었다. 김 교수는 “참사 골목 쪽으로 잘못 들어와 차가 긁힌 시민이 있었는데, 그분에게 길 안내를 하는 것이 경찰이 아닌 자원봉사자였다”며 “경찰이 너무 위축되면 문제 상황에 개입해 주길 바라는 시민의 기대치에 충족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도 기억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지혜 기자 wisdom@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혜진 “제작진 놈들아, 정신 차리게 생겼냐”…前남친 전현무 등장에 분노 폭발
- 한덕수 탄핵 때 ‘씨익’ 웃은 이재명…“소름 끼쳐, 해명하라” 與 반발
- ‘미스터션샤인’ 배우 이정현, 돌연 기아 생산직 지원…‘평균연봉 1억2천’
- 선우은숙 “녹취 듣고 혼절”…‘처형 추행’ 유영재 징역 5년 구형
- “아내가 술 먹인 뒤 야한 짓…부부관계 힘들다” 알코올중독 남편 폭로
- “남친이 술 취해 자는 내 가슴 찍어…원래는 좋은 사람“ 용서해줘도 될까
- 코로나 백신 접종한 여성서 가슴 ‘매우 크게 증가’하는 부작용 보고
- 고경표, ‘무인사진관 음란행위’ 루머에 법적대응 “허위사실, 선처나 합의 없어”
- 황정음, 이혼 고통에 수면제 복용 "연예계 생활 20년만 처음, 미치겠더라"
- 은지원, 뼈만 남은 고지용 근황에 충격 "병 걸린 거냐…말라서 걱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