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가 8일간 화성 대장정 떠난 까닭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795년 조선의 천재임금 정조가 즉위한 지 20년 되던 해.
그 해는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환갑을 맞이한 해였다.
정조는 어머니를 모시고 창덕궁을 떠나 용산에서 배다리를 설치해 한강을 건넌 뒤 지금의 시흥과 안양, 군포 등을 거쳐 화성행궁으로 향한다.
이 두 왕은 글과 그림을 통해 끊임없이 신하들을 설득하고 논리를 개발하고 이상적인 이미지를 남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앙박물관 ‘탕탕평평’展
8폭 병풍 화성연행도
영조, 무리짓는 신하 질책
김두량 ‘삽살개’ 그림 눈길
왕권을 확립한 정조의 자신감과 애민정신이 빛나는 이 병풍이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걸렸다. 내년 영조 즉위 300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탕탕평평-글과 그림의 힘’ 전의 대미를 장식하는 그림이다. 18세기 최고의 기록화를 꼽히는 이 작품은 중요 인물은 더 크게 그렸던 과거 기록화에서 벗어나 서양식 원근법을 처음으로 적용한 기록화로도 알려져 있다. 백성들이 구름처럼 몰려와 편안한 자세로 왕의 행렬을 구경하는 모습에서 태평성대를 꿈꿨던 정조의 이상이 잘 녹아들어 있다.
대표적인 그림이 영조가 무리짓는 신하를 꾸짖으며 자신이 아끼는 화원 김두량에게 그리게 했던 ‘삽살개’다. 일반 공개는 이번이 처음이다. 전시작 총 88점 가운데 가장 친근하고 사랑스러운 작품이다. 꼬리를 들고 사납게 짖는 삽살개를 그린 그림 위에 영조는 직접 “사립문을 밤에 지키는 것이 네가 맡은 임무이거늘 어찌하여 길에서 대낮에 이렇게 짖고 있느냐”며 질책한다. 노론과 소론으로 갈려 극심한 붕당정치를 일삼는 신하들을 삽살개에 비유해 꾸짖은 것이다.
어머니가 미천한 무수리 출신으로 정통성이 약했던 영조는 이복형인 경종을 죽여 왕위에 올랐다는 독살설에 시달렸다. 손자인 정조는 아버지의 비극적인 죽음을 ‘효(孝)’를 무기로 복권하려했다. 이 두 왕은 글과 그림을 통해 끊임없이 신하들을 설득하고 논리를 개발하고 이상적인 이미지를 남겼다.
영조의 탕평책을 뒷받침한 박문수의 38세와 60세 초상화, 김홍도가 그린 ‘주부자 시의도’, 탕평의 뜻을 담은 비석 탑본 등도 함께 공개된다. 전시는 내년 3월 10일까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용이 국물 더 달라던 어묵집…“사진 한장으로 10억 홍보효과” - 매일경제
- 한국은 부자들이 떠나는 나라 ‘7위’…전세계 톱10 국가는? - 매일경제
- “엄마 저 이제 어떡하죠”…20대 영끌족 연체율 전 연령층서 가장 높아 - 매일경제
- 소중한 나, 얼어죽으면 안 돼…‘얼죽숏’에서 ‘얼죽롱’으로 갈아타기? - 매일경제
- “결혼말고 이혼하니 더 잘 산다”…요즘 CEO들 고민한다는 ‘이것’ - 매일경제
- “35세 넘으면 아무리 예뻐도”…엄정화도 놀란 한국드라마 ‘대반전’ - 매일경제
- ‘국민연금공단 문자’ 함부로 열지 마세요 …스미싱 주의보 - 매일경제
- 딥페이크 ‘옷 벗기기’ 앱 성행…AI 성범죄 악용 우려 높아져 - 매일경제
- 서울 ‘노른자 땅’ 줄줄이 공매로 넘어간 까닭…전국에 50곳 있다는데 - 매일경제
- 뉴캐슬 오른쪽 수비가 엉망이 됐다, 윙으로 돌아온 ‘쏘니’ 1골 2도움 대활약→평점 9.5+6호 MOT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