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권 분쟁 국가에 대응 수위 높이는 中

이귀전 2023. 12. 11. 06: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이웃 국가들에 이례적으로 '전쟁'을 거론하거나 물리적 충돌을 서슴지 않는 등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10일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군 전략가로 알려진 허레이 중장은 중국이 대만 통일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탈취를 동시에 단행할 가능성에 대해 "(중국 측) 이치로 본다면 그렇다"며 "전쟁을 바라지 않지만 두렵지 않다"고 이례적으로 '전쟁'을 언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군 최고 전략가 허레이 중장
센카쿠 열도 문제 관련 ‘전쟁’ 언급
“日 순시선 불법 진입… 퇴거 조치”
남중국해선 比와 물리적 충돌도

중국이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이웃 국가들에 이례적으로 ‘전쟁’을 거론하거나 물리적 충돌을 서슴지 않는 등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10일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군 전략가로 알려진 허레이 중장은 중국이 대만 통일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탈취를 동시에 단행할 가능성에 대해 “(중국 측) 이치로 본다면 그렇다”며 “전쟁을 바라지 않지만 두렵지 않다”고 이례적으로 ‘전쟁’을 언급했다. 교도통신은 허 중장 발언에 대해 “중국이 장래에 센카쿠 열도 영유권을 탈취하려는 의지를 선명히 했다”고 짚었다.
10일(현지시간) 영유권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서 중국 해안경비대 함정이 필리핀 해군의 보급선을 들이받는 모습. AP연합뉴스
중국 해경은 전날 센카쿠 열도 인근에서 일본 측 순시선들과 마찰을 빚은 사실도 공개했다. 해경은 “9일 일본 어선과 여러 척의 순시선이 불법으로 우리 영해에 진입했다”며 “중국 해경 함정은 법에 따라 필요한 통제 조치를 취하고 경고·퇴거 조치를 했다”고 발표했다. 동중국해에 있는 센카쿠 열도는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지마로부터 180㎞가량, 중국 본토로부터는 330㎞ 정도 떨어진 섬이다.

필리핀은 지난 9일 남중국해 스카버러 암초(중국명 황옌다오) 인근에서 중국 해경선이 자국 수산국 선박을 향해 물대포를 쐈다고 밝혔다. 물대포로 인해 선박의 통신 및 항법 장비가 손상됐다고 덧붙였다. 이에 맞서 중국 해경은 “10일 오전 필리핀 해경 선박 등이 세컨드 토머스 암초(중국명 런아이자오) 인근 해역에 침입했다”며 “필리핀 ‘우나이자 메이’ 1호 함정이 정상적인 법 집행 항행 중이던 우리 해경 21556정을 고의로 들이받아 측면 충돌을 발생시켰다”고 주장했다.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해당하는 해역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긋고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고 있다. 국제상설재판소(PCA)는 2016년 중국의 주장을 기각했지만 중국은 계속해서 영유권을 고집하면서 베트남, 필리핀 등 주변 국가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최근 주요 7개국(G7) 정상들이 중국의 남중국해 군사행동에 우려를 표하자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G7은 미국의 주도로 남중국해 문제를 계속 과장하고 있고, 중국 정부가 외교정책을 바꾸도록 하고 있다”며 “G7의 남중국해 문제에 대한 입장은 치밀하게 계획된 인지전(cognitive warfare)”이라고 주장했다.

이귀전 기자 frei5922@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