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큰손들 ‘脫중국’… 사모펀드 투자 20분의 1로 급감
‘헤지펀드 대부’로 불리는 레이 달리오가 세운 미국의 헤지펀드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는 지난 3분기(7~9월) 중국 주식을 대거 팔았다. 전기차 회사 샤오펑·리오토, 제약사 허치메드 등 10종목은 모두 팔았고,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 등 17종목의 비중을 줄였다. 브리지워터가 보유한 중국 주식은 1년 새 60% 감소했다. 그 이유로는 중국 경기 둔화와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에 대한 우려 등이 제시됐다.
미 월가의 ‘큰손’인 사모펀드들이 중국 시장에서 빠져나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 시각) “월가 대형 사모펀드들의 중국 투자 펀드 모집 규모는 지난 10년간 연평균 1000억달러(130조원)에 달했지만,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43억5000만달러(5조6000억원)로 줄었다”고 전했다. 월가 사모펀드들의 중국 투자금이 예년의 5% 수준으로 급감한 것이다. 칼라일 등이 중국 관련 펀드 모집을 중단했고, 뱅가드, 반에크와 같은 공모펀드 운용사들도 중국 펀드 출시 계획을 접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국제 자본의 중국 주식과 채권 투자는 올해 급격히 줄었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에 따르면 올 들어 10월 말까지 중국 주식과 채권에 대한 투자액은 310억달러(약 40조원) 감소했다. 2001년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글로벌 자본이 중국을 떠나는 이유는 중국 경제 전망이 어둡기 때문이다. 중국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은 올해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 연속 전년 대비 감소했다. 11월에는 0.5%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코로나로 인한 기저효과 등을 감안하면 감소세가 멈췄다고 보기는 이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내수의 ‘바로미터’인 수입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전년 대비 줄다가 10월에 잠깐 3% 상승한 뒤 지난달 다시 0.6% 감소했다.
지난 5일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중국의 국가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중국 당국이 부채가 많은 지방정부와 국영기업에 대한 재정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증거가 늘어났다는 이유에서다. 7일엔 홍콩과 마카오, 중국 국영기업 및 은행의 신용등급 전망도 낮췄다.
시 주석이 추진해온 ‘일대일로’에서 이탈리아가 탈퇴하면서 중국의 대외 전략에 차질이 생긴 것도 악재다. 이탈리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주요 7국(G7) 중 유일한 일대일로 참여국이었던 이탈리아는 지난 3일 일대일로 협정을 갱신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공식 서한을 전달했다.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30%가량을 차지하는 부동산 위기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중국 부동산 위기의 단초가 된 헝다그룹의 파산 결정이 다음 달 말 예정돼 있다. 비구이위안의 디폴트(채무 불이행) 우려도 진행형이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중국의 주택 과잉 공급 문제가 해소되려면 적어도 4~6년은 걸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의 내년 경제성장에 대해서도 부정적 전망이 이어진다. 세계은행은 지난 10월 “부동산 위기와 구조적 요인으로 중국의 성장 전망이 어두워졌다”면서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를 4.8%에서 4.4%로 하향 조정했다. S&P글로벌은 중국 부동산 위기 악화로 내년 성장률이 3% 밑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국 당국이 내년 성장률 목표를 5%가량으로 보고 있는 것과는 차이가 크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정보도문] ‘이재명 지지 활동하며 수임사건 방치...로펌 대표 징계’ 관련
- 성폭력 피해자 소송자료 유출한 박재동… 法 “내용 왜곡해 명예훼손”
- 무용수 깜짝 데뷔한 채시라... 붕어빵 딸과 함께 무대 올랐다
- 원전 확대·법인세 인하 놓고 충돌... 獨 ‘신호등 연정’ 3년 만에 붕괴
- ‘여소야대’ 일본 중의원, 30년 만에 野가 예산위원장 맡는다
- 추위 풀리는 주말... 전국 빨갛게 물든다
- 中, 지방정부 부채 감축에 2000조원 투입
- 이충상 인권위 상임위원, 돌연 자진 사퇴
- 부산·경남 행정 통합 첫발... “대한민국 경제 수도 될 것”
- 尹 “우크라서 습득한 현대戰, 100만 북한군에 적용땐 안보 큰 위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