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무서워" 설탕 넣은 커피 꾹 참았는데…"그럴 필요 없었네"

정심교 기자 2023. 12. 8. 12: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커피나 차(茶)에 설탕을 넣어도 건강에 나쁜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덴마크 남성에서 커피나 차에 설탕을 사용하는 것은 사망률,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In the present population of Danish men, use of sugar in tea and/or coffe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ortality or incident diabetes.)는 게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분석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심교의 내몸읽기]
라이덴대학 연구팀, 덴마크 고령 남성 2923명 32년간 관찰

커피나 차(茶)에 설탕을 넣어도 건강에 나쁜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봉지 커피 등 커피에 설탕 등을 넣어 마셔도 당뇨병 발생이나 사망 위험 등이 특별히 높아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메디컬센터 심장학과 로데릭 트레스케스(Roderick W. Treskes) 박사팀이 덴마크 코펜하겐에 거주하는 고령 남성 2923명을 32년간 추적 조사한 결과 "커피·차의 설탕은 '무죄'"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Use of sugar in coffee and tea and long-term risk of mortality in older adult Danish men: 32 years of follow-up from a prospective cohort study, 커피와 차에 설탕을 넣어 마신 덴마크 남성의 장기 사망 위험: 32년간 추적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실렸다.

연구팀은 1985∼1986년 커피나 차를 즐기면서 심혈관 질환, 암, 당뇨병이 없는 남성(평균 나이 63세) 2923명을 최장 32년간 추적 관찰했다. 커피나 차를 마실 때 커피를 추가하는 비율은 3명 중 1명꼴(34.5%, 1007명)이었다. 32년의 추적 기간에 2581명(88.3%)이 사망했다. 커피 등을 마실 때 설탕을 넣지 않는 남성의 사망률은 87.5%로, 설탕을 넣는 남성의 사망률(89.9%)과 엇비슷했다.

설탕을 넣은 남성의 심장병 사망률은 38.2%로, 설탕을 넣지 않은 남성(35.3%)보다 약간 높았다. 설탕을 넣어 마시는 남성의 당뇨병 발생률은 8.1%로, 설탕을 넣지 않는 남성(9.9%)보다 오히려 낮았다.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고려해 본 결과, 커피 등을 마실 때 설탕을 넣는 남성의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은 설탕을 추가하지 않는 남성의 1.06배였다. 설탕을 넣는 남성의 심혈관 질환 사망률, 암 사망률, 당뇨병 발병률은 설탕을 넣지 않는 남성보다 각각 1.11배, 1.01배, 1.04배 높았다. 하지만 설탕을 넣는 남성과 설탕을 넣지 않는 남성 간 통계상 의미 있는 사망률과 당뇨병 발생률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덴마크 남성에서 커피나 차에 설탕을 사용하는 것은 사망률, 당뇨병 발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In the present population of Danish men, use of sugar in tea and/or coffee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mortality or incident diabetes.)는 게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분석했다. 커피나 차를 달게 하는 것과 당뇨병 발병과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률 증가 사이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는 것이다.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