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AI칩 공개한 AMD, 엔비디아 지배력 흔들까 (영상)

유재희 2023. 12. 8. 11:4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AMD AI칩 ‘MI300X’ 메타·MSFT·오라클 등 채택
리사 수 “H100보다 뛰어난 성능 발휘...내년 20억달러 매출”
“추가적인 점유율 확보·엔비디아에 도전” 긍정적 평가 잇따라
“흔들리지 않는 엔비디아의 지배력” 평가도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글로벌 반도체 설계 기업 AMD(AMD)가 지난 6일(현지시간) 새로운 AI(인공지능)칩과 대형 고객을 공개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월가에서도 AMD가 엔비디아(NVDA)의 강력한 AI 시장 지배력에 도전하면서 추가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7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이날 AMD 주가는 전일대비 9.9% 급등한 128.37달러에 마감했다. 최신 AI칩 공개 효과다.
AMD는 1969년 설립된 반도체칩 설계 기업으로 중앙처리장치(CPU)와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모두 취급하고 있다. CPU 시장에선 인텔과 GPU 시장에선 엔비디아와 각각 경쟁하고 있다. AMD의 제품은 인텔, 엔비디아와 비교해 성능 및 기능면에서는 부족하지만 강력한 가격 경쟁력으로 점유율을 넓히고 있다.

앞서 AMD는 6일 신제품 출시 이벤트를 열고 ‘인스팅트 MI300X 가속기’를 내년 1월 초 출시한다며 데이터센터 고객 및 서버 제조업체에 판매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리사 수 CEO는 “특정 AI 모델 추론 워크로드에 대해서는 엔비디아의 H100 HGX보다 최대 60%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며 “메타와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이 MI300X를 이미 채택했거나 채택을 위한 과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내년 20억달러 매출에 대한 확신이 있다는 것. 그는 이어 “AI 반도체칩 시장에서 엔비디아는 강력한 위치에 있다”며 “우리는 엔비디아를 이길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오는 2027년 AI 칩 시장이 40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만큼 일부 점유율만 차지해도 성공적이란 판단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날 AMD는 이 밖에도 새로운 노트북 프로세서 라인업 ‘라이젠 8040시리즈’를 공개하고 소프트웨어 플랫폼 ‘ROCm’ 업데이트 내용 등을 소개했다.

월가에선 이번 신제품 공개 행사에 대해 호평이 잇따랐다. AMD에 대해 ‘강력 매수’ 의견을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달 목표주가를 종전 145달러에서 125달러로 낮췄던 레이몬드 제임스의 크리스 카소 애널리스트는 다시 목표주가를 140달러로 높였다. 그는 “엔비디아가 높은 가격 책정으로 높은 마진을 기록 중인 것을 고려할 때 AMD는 매우 공격적으로 낮은 가격을 책정할 가능성이 크다”며 “메타가 AMD 제품을 채택한 것처럼 생성AI 시장에서 추가적인 점유율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향후 2~3년간 높은 성장세와 마진 확대를 달성할 것이란 판단이다. 현재 엔비디아의 AI칩 가격은 4만달러 수준으로 알려졌다.

AMD에 대해 월가 최고 목표가(200달러)를 제시하고 있는 로젠블랫의 한스 모세스먼 애널리스트는 “최근 10년중 가장 인상적인 신제품 출시 이벤트였다”며 “AI 추론의 우수성을 확인했고 엔비디아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쿠다(CUDA)’를 따라잡기 위한 ‘ROCm’에 대한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엔비디아의 강력한 시장 지배력 속에서도 AMD는 중요한 AI 혁신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AMD는 AI 개발자들이 엔비디아의 AI칩을 더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가 쿠다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ROCm` 기능을 개선한 것으로 알려졌다. 멜리우스 리서치의 한 분석가는 “소프트웨어에서 네트워킹까지 전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라는 것을 AMD가 인식하기 시작했다”며 “이러한 개선은 내년에 일부 대형 고객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컨설팅 기업 가트너의 한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는 지금까지 누려온 AI 시장에서의 경쟁 공백 상황을 더이상 누리지 못할 것”이라며 “AMD가 엔비디아의 지배력에 대한 실질적인 첫번째 위협이자 도전자인 만큼 엔비디아가 지금처럼 높은 가격, 높은 마진을 이어가기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엔비디아의 강력하고 견고한 지배력을 고려할 때 엔비디아 투자자들이 흔들릴 필요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오펜하이머의 릭 셰이퍼는 “결실을 맺은 AMD의 노력을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하지만 엔비디아는 여전히 강력한 지배적 위치에 있다”고 평가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비벨 아리아는 “AMD는 MI300X 제품 공개 후 향후 로드맵은 제시하지 못했다”며 “반면 엔비디아는 다년간의 견고한 로드맵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는 내년 H200과 B100, 2025년 X100 등 출시 로드맵을 이미 공개한 바 있다.

한편 월가에서 AMD에 대해 투자의견을 제시한 애널리스트는 총 44명으로 이중 31명(70.5%)이 매수(비중확대 및 시장수익률 상회 등 포함) 의견을 유지하고 있다. 평균 목표주가는 133.28달러로 이날 종가보다 4% 높다.

※네이버 기자구독을 하시면 흥미롭고 재미있는 미국 종목 이야기를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든 국내 주식이든 변동엔 이유가 있습니다. 자연히 모든 투자에도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그 이유를 찾아가는 길을 여러분과 함께 하겠습니다.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가 서학 개미들의 길잡이가 되겠습니다. 매주 화~금 오전 8시 유튜브 라이브로 찾아가는 이유 누나의 ‘이유TV’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유재희 (jhyoo76@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