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詩 읽기] 추우면 입김을 숨길 수 없더라고요

관리자 2023. 12. 8. 05: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추운 겨울, 잘 지내고 계십니까.

낯선 누군가에게 말을 붙인다는 게 젊어서는 잘 안되던데 나이 먹고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에게 식사를 했냐고 묻는 일은 다정한 인사겠지만 행색이 초라한 어르신에게는 실례일 수 있을 겁니다.

그럭저럭 살아 가고 있는 인류에게 뺨 한대 후려치는 듯한, 어쩌면 어느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한마디라서 말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추운 겨울, 잘 지내고 계십니까. 낯선 누군가에게 말을 붙인다는 게 젊어서는 잘 안되던데 나이 먹고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닌 게 되었습니다. 사람의 풍경을 채집하러 다니는 직업을 가졌기에 작은 용기를 내는 순간이 글감으로 이어지는 일도 잦아졌습니다.

누군가에게 식사를 했냐고 묻는 일은 다정한 인사겠지만 행색이 초라한 어르신에게는 실례일 수 있을 겁니다. 그래도 실례를 무릅쓰고 물어야 할 상황은 있습니다. 그런데 나를 부끄럽게 만드는 저 한마디. 세끼나 챙겨 먹는 저로선 슬슬 뒷걸음질을 치다 멀리 도망을 가야 할 상황입니다.

다시금 용기를 내어 여쭤봅니다. ‘나 오늘 이분께 꼭 1만원 한장 쥐어드리고 간다’ 같은 알량한 마음을 앞세워 말입니다. 한데 돌아오는 대답이 나를 더 부끄럽게 만듭니다. 그럭저럭 살아 가고 있는 인류에게 뺨 한대 후려치는 듯한, 어쩌면 어느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듯한 한마디라서 말입니다. 그렇다면 나 같은 사람은, 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한단 말입니까.

합정대교 근처 버스 정류장에서 스친 한 어르신과의 일화는 찬바람이 부는 계절이면 떠오릅니다.

어제저녁 어스름 산책길에서 고양이들에게 줄 먹이를 준비하는 한 여인과 마주쳤습니다. 방해가 될까 애써 못 본 체하려 하면서도 저는 다 봤지요.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 고양이 집들로 보이는 상자들이 줄지어 있었고 각각의 상자에는 비닐막이 쳐져 있는 것을요.

겨울이 깊어갈수록 진한 입김을 감출 수 없는 것처럼 살면서 어떤 부끄러움도 점점 더 선명해지니 이것 참 어찌해야 하나 싶습니다.

이병률 시인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