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인도 증시의 도약

정상범 수석논설위원 2023. 12. 7.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14년 집권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그해 8월 전 국민 은행 계좌 갖기 운동을 벌였다.

모든 인도인이 하나 이상의 은행 계좌를 개설함으로써 예금·보험·연금 등 다양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였다.

인도 정부는 1991년 외환 위기를 전후해 은행·증권사 등에 대한 외국인 투자 규제를 축소하는 등 금융 개혁을 단행했다.

인도 정부의 과감한 세제 혜택과 외국인 주식 보유 한도 확대 등의 투자 활성화 정책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

2014년 집권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그해 8월 전 국민 은행 계좌 갖기 운동을 벌였다. 모든 인도인이 하나 이상의 은행 계좌를 개설함으로써 예금·보험·연금 등 다양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젝트였다. 급전이 필요한 국민들에게 저금리 소액 대출을 지원하고 ‘장롱 예금’을 금융권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다목적 포석이었다. 국민들의 반응은 기대 이상이었다. 불과 1주일 만에 1800만 계좌가 개설돼 최단 시간 내 최다 계좌 개설 기록으로 기네스북에 올랐다. 제도권 금융 활성화를 통해 주식 투자 대중화의 발판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인도 증시는 아시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다. 봄베이증권거래소(BSE)는 1875년에 설립된 인도 최초의 증권거래소로 6600여 개의 기업이 상장돼 있다. BSE의 센섹스지수는 30개 우량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산출된다. 1992년에 개장한 국립증권거래소(NSE)도 2000여 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일찍이 전자거래 플랫폼을 도입했다. 인도 정부는 1991년 외환 위기를 전후해 은행·증권사 등에 대한 외국인 투자 규제를 축소하는 등 금융 개혁을 단행했다.

올해 1월에는 인도 증시의 불투명성과 소통 부재가 도마 위에 올랐다. 아다니그룹이 주가조작, 분식 회계 등의 의혹을 받아 시장 전체가 흔들리는 사태를 겪었기 때문이다. 기업의 지배 구조와 회계 투명성을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업그레이드해야 하는 과제를 안겨준 셈이다.

인도 증시가 5일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면서 세계 4위의 홍콩 증시(4조 7000억 달러)를 위협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서만 150억 달러어치를 순매수해 주가를 끌어올리고 있다. 중국을 떠난 외국인 자금이 인도로 몰려들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정부의 과감한 세제 혜택과 외국인 주식 보유 한도 확대 등의 투자 활성화 정책도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홍콩 증시는 국가보안법 시행 여파로 올해 25%나 폭락하는 등 4년 연속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민간 활력을 북돋워야 지속 가능한 성장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정상범 수석논설위원 ssang@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