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상균의 혁신의 세계] 오픈AI를 통해 본 혁신자본의 힘/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2023. 12. 7.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년 전 챗GPT로 생성형 인공지능(AI) 돌풍을 일으킨 오픈AI의 이사회가 지난달 17일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을 일방적으로 해고한 드라마는 닷새 만에 올트먼의 CEO 복귀와 새로운 이사회 구성으로 일단락됐다.

오픈AI라는 이름에서 보듯 안전한 AI를 만들고 누구에게나 AI 혜택이 가도록 하자는 게 창업 명분이었다.

오픈AI 이사회가 CEO 샘 올트먼을 해고하기 바로 전만 해도 이 회사는 조만간 가격이 오를 오픈AI LP 주식을 이전 가격으로 배정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닷새 만에 끝난 CEO 해고 드라마
생성형 AI 나쁘게 쓰일 수 있지만
찍어 누른다고 해결될 문제 아냐
되레 기술 발전 앞당기는 게 해법
차상균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초대원장

1년 전 챗GPT로 생성형 인공지능(AI) 돌풍을 일으킨 오픈AI의 이사회가 지난달 17일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을 일방적으로 해고한 드라마는 닷새 만에 올트먼의 CEO 복귀와 새로운 이사회 구성으로 일단락됐다. 오픈AI는 2015년 당시 우수한 인재와 자금력을 바탕으로 AI 연구개발을 선도하던 구글에 의해 AI 연구개발 주도권과 결과가 폐쇄적으로 독점될 것을 우려하던 사람들에 의해 세워졌다. 오픈AI라는 이름에서 보듯 안전한 AI를 만들고 누구에게나 AI 혜택이 가도록 하자는 게 창업 명분이었다.

하지만 ‘다윗’ 오픈AI가 ‘골리앗’ 구글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높은 몸값의 뛰어난 인재를 유치하고 이들이 실험할 수 있는 고가의 컴퓨팅 자원을 확보해야 했다. 이에 필요한 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오픈AI는 유한자회사(LP)를 설립했다. 비영리법인 아래에 자본주의 원칙을 따르는 혁신자본 그릇을 만든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실리콘밸리의 벤처캐피털들이 투자하고 직원들에게는 이 LP의 주식을 배당했다. 오픈AI 이사회가 CEO 샘 올트먼을 해고하기 바로 전만 해도 이 회사는 조만간 가격이 오를 오픈AI LP 주식을 이전 가격으로 배정받을 수 있다고 홍보했다. 벤처캐피털들은 CEO 복귀가 되지 않으면 직원들의 주식을 유동화하기 위한 펀드 조성을 재고하겠다고 이사회를 압박했다.

하지만 이런 특이한 오픈AI 지배 구조에서는 혁신 자본주의와 이상적 이타주의의 충돌은 필연적이다. 이상주의자들의 쿠데타는 혁신 자본주의자들에게 개입할 명분을 만들어 줬고, 전략이 부실했던 이상주의는 경험 많은 혁신자본에 손을 들 수밖에 없었다.

기존 6명의 이사 중 창업가 출신의 애덤 디앤절로가 유일하게 이사회에 남고 트위터의 이사회 의장을 지낸 연쇄 창업자 브렛 테일러와 미국 재무장관과 하버드대 총장을 역임한 래리 서머스가 새로운 이사로 선임됐다. 서머스는 블룸버그TV에 고정 출연해 세계 경제의 현안에 대해 의견을 밝히는 경제학자다. 지난해 챗GPT가 공개됐을 때 “인류 역사에서 인쇄술이나 전기의 발명과 맞먹는 발명”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그가 새로운 이사가 된 것은 전혀 놀랍지 않다.

새 이사회 의장을 맡은 테일러는 1980년생으로 40대 초반이다. 닷컴 버블 붕괴 직후인 2000년대 초 스탠퍼드대에서 컴퓨터사이언스 학사·석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그는 창업 5년차인 구글에 입사해 훗날 구글 지도 서비스로 발전한 위치 기반 검색 서비스 개발을 이끌었다. 2007년 상장 기업이 된 구글을 나와 실리콘밸리의 선도 벤처캐피털인 벤치마크에서 예비창업자로 구글 출신들과 함께 소셜네트워크 벤처 프렌드피드를 창업했다. 2009년 8월 페이스북에 이 회사를 5000만 달러에 매각한 테일러는 2010년 30세에 페이스북 최고기술책임자(CTO)가 됐다. 페이스북의 ‘좋아요’ 버튼은 프렌드피드에서 왔다.

2012년 테일러는 페이스북을 나와 제2의 창업을 했다. 이때 설립한 큅은 구글 닥스와 경쟁했다. 이 회사는 2016년 세일스포스닷컴이 인수했다. 이후 테일러는 세일스포스닷컴에서 공동 CEO까지 맡았다. 이와 병행해 2016년부터 2022년까지 트위터의 이사와 이사장도 맡았다.

오픈AI가 테일러를 왜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오픈AI 드라마는 자본주의자들의 승리로 끝났다는 칼럼을 실었다. 생성형 AI가 나쁜 의도로 위험하게 쓰일 여지는 있다. 하지만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을 규제한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인류의 발명 중에 위험했던 발명은 수없이 많았다. 오히려 기술의 발전을 앞당겨 문제의 해결 방안을 찾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