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이 존경하는 검사' '백종원 부친과 인연'… 김홍일 방통위원장 후보자

정준기 2023. 12. 6. 1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은 검찰 '특수통' 출신이자, 윤석열 대통령이 존경하는 검찰 선배 중 한 명이다.

여권에서 김 후보자의 어려웠던 시절을 강조하는 것은 방통위원장에 방송·통신과 전혀 무관한 윤 대통령과 가까운 검찰 특수통 출신 인사를 앉혔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측면이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통령실, 입지전적 스토리 강조
"방송통신 무관한 인사" 비판 염두
방송통신위원장 후보로 지명된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이 6일 오후 청렴리더십 특강을 위해 방문한 충북 청주시 서원구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청주=뉴시스

6일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김홍일 국민권익위원장은 검찰 '특수통' 출신이자, 윤석열 대통령이 존경하는 검찰 선배 중 한 명이다.

김 후보자는 전형적인 '자수성가' 스토리로 유명하다. 1956년 충남 예산에서 4남매 중 맏이로 태어난 그는 초등학교 5학년 때 모친을, 고교 2학년 때 부친을 여의었다. 1972년 예산고를 졸업하고 농사일 등으로 동생들을 보살피다 1975년 전액 장학금을 받고 충남대 법대에 입학했다. 1982년 결혼 후에도 동생들을 데리고 살았다.

김 후보자가 예산고 3학년 때 예산고 초대 교장이자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의 부친인 백승탁 전 충남도교육감과 맺은 인연도 자주 언급된다. 당시 김 후보자는 약 8㎞ 거리를 통학하고 있었는데, 백 전 교육감이 "한두 시간 걸리는 통학시간에 공부를 하는 게 낫다"며 교장 관사에서 지낼 것을 권유했다고 한다. 1년간 관사 2층에서 지내면서 당시 다섯 살이었던 백 대표와 한솥밥을 먹었다.

백 전 교육감은 김 후보자가 대학 진학에 실패하자 재수에 도움을 주고, '사범대에 진학해 나중에 학교를 맡아달라'고 권할 정도로 신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당시 인연으로 매년 수 차례 찾아가 인사하는 등 백 전 교육감과 깊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82년 24회 사법시험(사법연수원 15기)에 합격한 김 후보자는 1986년 대구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수원지검 강력부장, 대검찰청 강력과장, 서울지검(현 서울중앙지검) 강력부장, 서울중앙지검 3차장, 대검 마약·조직범죄부장, 대검 중앙수사부장 등 강력·특수 분야 요직을 두루 거친 뒤 2013년 부산고검장을 마지막으로 검찰을 떠났다. 그가 중수부장에 임명됐을 당시 충남대 출신이 요직에 발탁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서울중앙지검 3차장 시절인 2007년 김 후보자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도곡동 땅 차명보유 및 BBK 의혹 사건 수사를 책임졌다. 2009년 대검 중수부장에 발탁된 이후엔 부산저축은행 비리 수사 등을 지휘했다. 중수부장 재직 시절엔 당시 중수 2과장이던 윤 대통령의 직속상관으로 깊은 인연을 쌓았다. 2013년 이후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로 활동하던 김 후보자를 올해 6월 현 정부에서 발탁한 첫 권익위원장으로 내세운 것도 윤 대통령과 김 후보자 간 신뢰관계를 보여준다.

여권에서 김 후보자의 어려웠던 시절을 강조하는 것은 방통위원장에 방송·통신과 전혀 무관한 윤 대통령과 가까운 검찰 특수통 출신 인사를 앉혔다는 비판 여론을 의식한 측면이 있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김 후보자를 소개하면서 "어린 시절 부모를 여읜 후 소년가장으로 농사일을 하면서 세 동생의 생계와 진학을 홀로 책임지고 뒤늦게 대학에 진학한 후 법조인이 된 입지전적인 인물"이라며 "이런 삶을 바탕으로 공명정대하면서도 따뜻한 법조인으로 오로지 국민을 위해 헌신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정준기 기자 joo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