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보조배터리와 손난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지인에게서 손난로 기능이 있는 보조배터리를 선물받았다.
한 손에 쏙 들어오는 크기로 최고 온도 60도까지 올라가는 제품이다.
'배터리 과열=발열 사고'에만 집중한 탓에 손난로로 이용할 수 있다는 생각을 못한 것이다.
'발열'이라는 특성을 겨울철 손난로에 대입한 것처럼, 뒤집어 보면 생각지 못한 부분을 발견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관련 해외우려기업(FEOC) 세부 규정안도 마찬가지다. 대다수가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위기론'을 말하지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미국의 심기를 건드리지 않고(?) 해외우려기업과 협력할 길이 열렸다고 볼 수도 있다.
이번 세부 규정안에 추가된 핵심 내용은 합작사 가운데 해외우려국가 자본 지분율이 25% 이상인 곳은 미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현재 미국은 IRA에 따라 미국 내에서 최종 조립된 전기차 구매자에게 최대 7500달러, 약 1000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미국이 지정한 해외우려국가는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이다.
LG화학, SK온, 포스코퓨처엠 등 이미 중국 기업과 합작법인을 설립한 곳이나 준비를 대부분 마친 기업들에는 좋지 못한 소식이다. 미국 내 전기차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당장 수천억원으로 예상되는 중국 지분 매입이 사실상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 큰 수확은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점이다. "가이드가 명확하게 나왔다는 것만으로 의미가 있다"거나 "대책 마련을 할 수 있게 됐다"는 업계 반응이 많다.
일각에서는 이 기회에 '탈(脫)중국'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하지만 미국이 25%라는 비율을 제시한 만큼 이를 적절히 이용해야 한다. 한국은 아직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광물의 절반 이상을 중국에 의존하고 있다. 물론 배터리 소재 국산화도 결코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미국의 보조금 규제와 중국의 배터리 소재 공급망 사이에서 줄타기를 피할 수 없는 게 한국의 운명이다. 좋든 싫든 이제는 '손난로 보조배터리' 식의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
권준호 산업부 기자 kjh0109@fnnews.com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화성 서해안고속도로서 벤츠 단독사고 화재…4명 숨진 채 발견
- "추성훈에게 김새론은 딸 같은 존재?"...김새론 장례비 전액 부담, 진실은
- "사촌오빠가 3년간 성폭행…임신 중절까지"
- 故 김새론 전남편 "폭행·임신 사실 아냐…고인 모욕하는 행위"
- "좀 있으면 길에서 똥도 싸겠다"..컵라면 먹으며 걷다 가게 앞에 '휙' 던져버린 여학생
- "지옥 같던 하루" 박한별, '승리 동업자' 남편 논란 사과
- 이수근, 강호동과 불화설 언급 "♥아내 혼전임신 방송서 폭로"
- 이혼전 한집살이…최여진, 돌싱 남편 논란 왜?
- 임대아파트서 부패한 시신 발견..입에 청테이프 붙어 있었다
- "남편 폰에 있던 女직원과의 성관계 사진을 아이들이 봐버렸습니다" [헤어질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