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이낙연·유승민·송영길·조국… 난무하는 신당 창당설
거대 양당 이탈 규모 최대 변수
선거제도 개혁도 영향 끼칠 듯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여야 중량급 인사를 중심으로 신당 창당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각각 반윤(반윤석열)·반이(반이재명)의 기치를 내세우며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대선 후보였던 유승민 전 의원도 창당을 두고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
거대 양당 의원들의 이탈 규모와 선거제 개혁 방향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가장 먼저 신당을 띄운 건 이준석 전 대표다. 이 전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과 친윤 지도부와 연일 각을 세우면서 신당 창당에 속도를 내고 있다. 총선 출마 후보자 모집까지 돌입한 상태다.
일각에선 이 전 대표가 대구·경북 등 보수텃밭을 기반으로 신당을 창당하고 수도권 출마에 나설 경우 보수진영 지지층이 나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국민의힘도 이 전 대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야권에선 이낙연 전 대표가 연일 민주당의 '이재명 체제'를 비판하며 제 3지대 신당창당을 시사했다. 발언의 강도가 점점 세지고 있다. 이 전 대표는 5일 친명(친이재명) 강성당원들의 제명 청원에 "당에서 몰아내면 받아야지"라며 탈당까지 시사했다.
신당은 호남을 기반으로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16년 새정치민주연합에서 탈당한 뒤 호남 지지율을 흡수해 창당했던 의원들의 모델을 따른다는 분석이다. 전남 영광출신이면서 그 곳에서 4선 의원, 전남지사를 지낸 점도 가능성을 더하는 근거다.
문재인 정부 출신인 정세균·김부겸 전 국무총리,제3지대에서 신당 창당에 돌입한 금태섭 전 의원과 양향자 의원과의 연합 가능성도 제기된다.
송영길 전 대표도 2일 대구에서 북콘서트를 열고 내년 총선에서 비례 위성정당을 창당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송 전 대표는 이날 "(내가 민주당에 복당하는 대신) '윤석열 퇴진' 세력을 집결하는 당을 만들면 윤 대통령을 조기에 끌어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난 21대 총선에서 민주당이 만들었던 비례용 위성정당 '더불어시민당'을 염두에 둔 계획으로 읽힌다.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도 이날 한 라디오에 나와 위성정당 창당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조국 전 장관도 비례정당 창당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기반도 다른 지역보다 본인을 향한 여론이 우호적인 호남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이날 광주를 찾아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그는 참배 전 방명록에 "5·18 정신을 생각하며 스스로를 돌아보고 한 걸음 내딛겠습니다. 고이 잠드소서"라고 적었다. 통상 야권 정치인들이 정치적 결단에 앞서 5·18 민주묘지 참배에 나서는 만큼 조 전 장관의 행보도 정치에 뛰어들겠다는 의지를 분명이 한 것으로 해석된다.
유승민 전 의원도 이달 자신의 거취를 밝힐 예정이다. 유 전 의원은 국민의힘 내부에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으면 탈당 후 거취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이준석 전 대표가 창당하는 신당 참여 여부는 분명치 않다. 유 전 의원은 언론 인터뷰와 사석에서 "어떤 정당이든 정치적인 지향점이 맞아야 같이 할 수 있다"밝히면서, 독자적인 신당 창당 가능성도 열어놓은 상태다.
신당 창당의 성패는 여야 거대 정당 의원들의 이탈 규모에 달려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각 정당 공천에서 탈락하거나 탈락이 예상될 경우, 얼마나 이탈할 지가 변수라는 것이다. 통상 인지도와 지역기반을 가진 의원들이 합류해야 세를 키울 수 있다는 과거 전례때문이다. 14대 총선에서 31석을 가져간 통일국민당, 15대 총선에서 50석을 확보한 자유민주연합, 20대 총선에서 38석을 차지한 국민의당이 대표적인 사례다. 통일국민당은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92년 창당했고, 자유민주연합은 1995년 민주자유당에서 떨어져 나와 고(故) 김종필 전 국무총리 주도 아래 만들어진 당이다. 국민의당은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안철수 의원과 호남 정치인들이 손잡고 창당했다.
회의론도 나온다. 친명계 초선 의원은 "지금 당과 대립각을 세우는 '원칙과 상식' 소속 의원들이나 일부 의원들 제외하고는 대부분 잔류할 것으로 본다"며 "신당창당을 시사한 분들이 거물급일 순 있지만, 기존 창당주와 같이 탄탄한 지역기반이나 따르는 세력, 자금력 등이 막강하진 않다"고 지적했다.
선거제도 변수다. 기존 지역구 당선 의원이 적을 경우 비례 의석을 보전해주던 연동형 방식이 페지되고 과거 병립형으로 회귀하면, 비례 의석 중심 정당은 불리해진다. 반면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유지되면 비례 의석 확보는 수월해진다.
김세희기자 saehee0127@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징역 50년, 부당하다"…`대구판 돌려차기` 20대男 항소
- 음식점서 갑자기 퍽 쓰러진 70대…옆좌석 수간호사 덕에 살았다
- 벌써 많은 학생들이 먹었는데…中학교 식당 양념통에 쥐 `경악`
- 음주운전 사망사고 40대에 이례적 징역 10년형
- `노예`가 된 유학생 동창…가스라이팅으로 1억6000만원 뜯겨
- 美 "한덕수 권한대행 역할 전적 지지…수주 내 韓美 고위급 대면외교"
- 거부권 행사 韓대행 탄핵 놓고 고민 깊어지는 민주당
- 정부, 2030년 경제안보품목 의존도 50% 이하로 낮춘다… "핵심광물 민·관 공동 투자·탐사 지원 강
- `전기먹는 하마` AI에 빅테크도 `원자력` `신재생` 영끌하는데… 에너지가 정치판 된 한국
- `ABC` 강조한 구광모… "`도전과 변화` DNA로 LG 미래 세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