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고학력 ‘워킹 시니어’에 일자리 활로 틔워주자
정년 퇴임한 지 오래된 내가 얼마 전 재취업에 성공했다고 하자 아들이 “아버지 취뽀를 축하드립니다”라고 했다. ‘취뽀’는 ‘취업 뽀개기’의 준말로, ‘취업에 성공했다’는 뜻으로 청년들이 사용하는 은어다. ‘취업을 뽀개버린다’라는 말까지 등장한 것을 보면 청년 취업난이 어느 정도 심각한지 짐작할 수 있다. 내가 재취업할 수 있었던 것은 나이와 상관없이 능력과 경험을 중시하는 기업이 일할 기회를 제공했기 때문이다.
최근 통계청에 따르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보다 45만여 명 늘어난 585만여 명으로, 전체 취업자 중 20.9%를 차지했다. 70대를 넘은 취업자도 171만여 명으로 전체 취업자의 6.5%였다. 은퇴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워킹 시니어(Working Senior)’들이 증가하는 것은 급격한 고령화로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은퇴하는 반면, 청년 인구 감소로 전체 노동력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년 후면 65세 이상이 인구의 25%를 넘는 초고령 사회가 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오랜 기간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인생 2막을 개척하고 싶어 한다. 최근 이런 고학력 워킹 시니어들의 경험을 살리고 숙련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퇴직 후 재고용’을 하는 기업이 늘고 있다. 한국과 같이 법적 정년이 60세인 일본은 정년 폐지나 정년 연장, 재고용 등으로 기업들이 65세까지 고용을 유지하도록 의무화했다. 우리나라는 청년들은 구직난에 시달리는 반면, 중소기업들은 정작 쓸 만한 인재를 찾지 못하는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런 점을 감안해 풍부한 지식·경험을 가진 워킹 시니어들에게 일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중 갈등, 최악 국면 지났나… 뉴욕 3대 증시, 나흘 연속 강세
- 美재무 한미 통상협의에 “양국 간 교역 장려하는 논의에 고무”
- ‘박지성 절친’ 맨유 레전드, 종합격투기 도전…“수아레스와 경기 원해”
- 어린이날까지 완연한 봄 날씨...비 소식 없이 일교차 커
- “감동이다” 中네티즌, 한국 버스기사에 칭찬 릴레이…무슨 일?
- [Minute to Read] Ex-President Moon indicted in bribery case tied to son-in-law’s hiring
- ‘금녀’ 관례인데 수녀가 교황 관 앞에…알고 보니 감동 사연
- [모던 경성]‘과학조선’의 개척자들⑬‘버러지’에 홀린 ‘한국의 파브르’조복성
- 대통령·할리우드 스타도 찾는 곳…도심 속 ‘숲’에서 프라이빗하게 힐링
- 프란치스코 교황 조문 끝내고 관 봉인…3일간 25만명 찾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