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금융 대부업 꼬리표 뗐지만…부동산PF 부실에 최윤 '종합금융 꿈' 멀어지나
OK금융, 사업 포트폴리오 재편…종합금융그룹 도약 시도
OK저축·캐피탈 부동산PF 연체율 상승 발목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대부업 조기 청산에 성공한 OK금융그룹이 종합금융사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는 가운데 그 꿈이 당분간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그룹의 두 축인 OK저축은행과 OK캐피탈의 부실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서다. 시장에 마땅한 매물이 부족해 목표로 한 증권업 진출에도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OK금융은 지난 10월 19일 산하 대부업체였던 아프로파이낸셜대부(러시앤캐시)의 금전대부업 사업권을 금융감독원에 반납했다. 당초 금융당국과 약속했던 기간보다 1년 3개월 앞당겨 대부업 철수를 마무리했다.
당시 최윤 OK금융그룹 회장은 "그룹의 모태가 되었던 대부업 철수를 계기로 OK금융그룹은 임직원 모두가 꿈꾸고 바랐던 또 하나의 새로운 정통에 올라 섰다고 생각한다"며 "창립 후 지난 24년 동안 늘 그래왔던 것처럼 도전의 발길을 멈추지 말고 진정한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OK금융은 지난 2014년 OK저축은행의 전신인 예주·예나래저축은행 인수 당시 금융당국에 제출했던 '저축은행 건전 경영 및 이해상충 방지 계획'에 따라 대부업 철수 작업을 해왔다. 또 지난 2018년과 2019년 두 해에 거쳐 '원캐싱'과 '미즈사랑'을 철수했고 미즈사랑 사업 전부는 OK저축은행이 인수했다. 올 3월 예스자산대부는 OK캐피탈이 흡수합병했다.
시장에서는 대주주 적격성 문제를 해소한 OK금융이 본격적인 종합금융사 도약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OK금융이 대부업의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가장 먼저 증권사나 자산운용사 등 인수를 검토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그동안 OK금융은 2015년 LIG투자증권, 2016년 리딩투자증권 등 증권사 인수를 몇 차례 추진했으나 모두 무산됐다. 2017년에는 현대자산운용, 현대저축은행, 이베스트투자증권 등 인수합병시장에 매물로 나온 곳에 관심을 뒀으나 뚜렷한 수확은 없었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의 경우 OK금융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으나 당시 대부업 위주의 사업구조로 금융위원회 대주주 적격성 심사 문턱을 넘지 못했다.
최근에는 우리금융지주가 상상인저축은행 인수 검토를 잠정 중단하면서 OK금융의 인수 가능성이 열려 있다. 그러나 상상인저축은행이 사모펀드에 안길 가능성도 크다. 금융위원회의 지분 매각 명령에 따라 내년 4월까지 새 주인을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OK금융 관계자는 "OK금융그룹은 대부업 조기 철수를 계기로 그룹 차원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편해 진정한 종합금융그룹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라며 "그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는 증권사 등 새로운 금융사 인수를 추진해 사업 영역을 넓히고자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 살 만한 매물이 없는 가운데 OK금융의 주력 계열사인 OK저축은행과 OK캐피탈의 부실화도 시급한 과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분양 시장 침체로 OK저축은행의 연체율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실제로 3분기 OK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은 9.07%로 지난해 동기(3.64%)보다 5.43%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OK저축은행의 6월 말 기준 부동산 PF 연체율은 8.4%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4.7%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SBI·OK·웰컴·페퍼·한국투자 등 자산 규모 상위 5대 저축은행의 연체율 평균치인 4%를 크게 웃돈다. OK캐피탈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6월 말 기준 OK캐피탈의 연체채권 비율은 10.6%로 지난해 말 대비 6.2%포인트 상승했다. 연체금액은 작년 말 1357억 원에서 2538억 원으로 증가했다.
이에 따라 OK금융이 당분간 기존 OK저축은행과 OK캐피탈 등 주력 계열사의 안정화를 꾀할 것이란 시각도 있다. 다만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저축은행, 캐피탈의 실적 부진이 장기화 될 경우 OK금융이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는 데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OK저축은행 관계자는 내년 리스크 관리 계획에 대해 "부동산업황 악화에 따라 엑시트까지의 과정이 지연되면서 연체율이 상승했으나, 당사의 자본력을 고려하면 관리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원자잿값 상승,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대출금리 인상 등 최근 부동산 시장 환경 변화와 연체율 추이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있다. 저축은행 부동산PF 대출 자율협약에 적극 참여해 부동산 PF대출 위험을 관리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seonyeo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비트코인 5000만 원 돌파…연말 '산타 랠리' 기대감↑
- [격동의 황제주③] 60년 역사 남양유업, '불신'의 대명사로…끝없는 추락
- [리얼과 논란 사이①] "경각심 가져야"…반복되는 출연자 논란史
- '1200억 원' 상생 지원한다는 삼성카드…알고 보니 '구색 맞추기'
- 서울 쓰레기통 매년 1000개↑…인력 충원은 '아직'
- [열린(?)용산시대<하>] 안보 위협? 알 권리? 갈 길 먼 '정보 공개'
- [TMA 인터뷰] 잔나비, 유일한 밴드 퍼포머의 '즐거운 책임감'
- 국민의힘 혁신위의 '예고된 실패'...김기현 앞날은
- [강일홍의 클로즈업] 연말 극장가 달군 '서울의 봄' 흥행 비결
- 박해준 "황정민이 차려놓은 밥상에 숟가락만 올렸을 뿐"[TF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