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사라지는 ‘중국 특수’...수출 전략, 소비재 중심으로 바꿔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가 앞으로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 경제가 부동산 위주의 투자에서 소비와 첨단 산업으로 성장동력을 '리밸런싱'하면서 중국경제의 중간재 자립도가 높아져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비·첨단산업으로 리밸런싱하는 中
자립도 늘어나며 무역 파급력↓
“대중 수출, '중간재→소비재 중심' 전환해야”
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 ‘중국 성장구조 전환과정과 파급 영향 점검’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디레버리징을 추진하며 소비와 첨단산업에 집중하고 있다. 최근 부동산 침체에 대응해 부양조치를 내놓았으나 장기적으로는 '중국제조 2025'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제조업 고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섬유·의류·컴퓨터 등 기존 산업이 축소되고 전기차·이차전지·태양광 등 신성장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실제 전기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수출이 호조를 보이면서 중국은 독일, 일본을 제치고 최대 자동차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올 들어 9월까지 349만대를 기록해 일본(319만대), 독일(244만대)을 제쳤다.
다만 한은은 중국의 신성장산업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첨단기술을 둘러싼 미국 등 서방과 갈등으로 중국에 대한 직접투자가 축소돼 향후 중국의 첨단산업 성장세가 제약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중국경제 성장이 무역 경로를 통해 주변국 성장에 미치는 영향도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최종수요가 자국 내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비중은 지난 2018년 86.6%에서 2020년 87.3%로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변국 비중은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의 최종수요가 우리나라 부가가치를 유발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1.2%에서 1.0%로 감소했다.
이에 한은은 우리경제가 앞으로 중국 경제의 중간재 자립도가 높아지고 기술경쟁력 제고로 인한 경합도가 상승하면서 과거와 같은 중국 특수를 누리기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김보성 한은 조사국 중국경제팀 과장은 “우리경제는 중국경제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간재 중심의 대중 수출을 소비재 중심으로 확대하는 한편, 기술개발을 통해 수출품의 대외경쟁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중국에 편중된 수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역시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경애, 김학래 바람 폭로 "팬티 뒤집어 입고 향수 냄새 다르다"
- "EVA 성과급으론 안된다"…삼성전자 '술렁'[성과급의 경제학②]
- "이선균 협박한 女실장..강남의사와 마약파티"..결국 '철창행'
- 대전시의회 부의장, 고향 논산서 숨진 채 발견
- 김민희, 뒤늦은 이혼 고백 "딸 홀로 키워…공황장애 앓아"
- 박지원 "한동훈, 尹부부 절대 안 변한다…미련 버리고 국민 뜻따라 결단하라"
- 故김수미, 아들 아닌 며느리 서효림에 집 증여…애틋한 고부관계 재조명
- 조권 "데뷔 초 박진영에게 세뇌당해 27살에 연애 시작"
- 한가인 "첫키스는 유재석"…♥연정훈 놀랄 영상 공개
- 오븐 열었더니 19세女직원 숨진 채 발견…월마트 '충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