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그룹, RE100 이행 PPA 봇물...'나쁜 기업' 오명 벗나[ESG워치]

김경은 2023. 12. 3. 12: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대 그룹, PPA 체결 봇물
기후그룹, 한국 제도적 변화 나타나
삼성전자 2년 연속 최하위 등급 오명 벗나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재생에너지 구매계약인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구매계약) 제도가 도입되면서 국내 4대 그룹의 재생에너지 전환에도 가속도가 붙고 있다.

출처: Climate group 홈페이지
SK그룹은 SK텔레콤·SK실트론 등 9개 계열사가 SK E&S로부터 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기를 연 537GWh 직접 구매하기로 했다고 지난달 24일 밝혔다. 국내 최대 규모다.

같은 달 23일에는 현대자동차가 2025년까지 울산공장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가운데 84GWh를 태양광 재생에너지로 조달받기로 하는 내용의 직접 PPA를 현대건설과 맺었다고 발표했다. 이 외에도 2025년까지 국내 사업장 부지 내 태양광 자가발전 인프라 구축에 20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가입기업 가운데 국내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고 있는 삼성전자는 경기도 산업단지 RE100 사업 중 하나인 평택지역 산업단지에서 생산하는 45MW 규모의 전력을 공급받을 예정이다.

본사를 한국에 둔 RE100 기업들의 국내 사업장의 사용 전력량 및 재생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는 비공개 정보인 탓에 이들 발전량이 얼마나 재생에너지 비율을 끌어올릴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한국전력과 전력계통망 연결을 하지 않고도 발전사와 직접 전력을 구매하는 제도인 PPA 제도가 도입되면서 산단의 유휴부지내에 발전소 구축을 통해 재생에너지 공급에 나설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앞서 지난해 9월 LG전자가 국내 첫 비계통연계형 직접 PPA 방식으로 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하면서 포문을 연 이후 4대 기업이 모두 국내에서 PPA를 주요 재생에너지 공급 수단으로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LG전자는 국내 기업 최초로 GS EPS와 손잡고 창원 ‘LG스마트파크’에서 생산한 6600MWh 규모의 전기를 직접 구매하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지난 8월엔 LG이노텍이 SK E&S와 20년 동안 연 10MW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공급받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이 지난 3월 개발해 한국에 촉구한 지역적 정책 메시지(Localised Policy Messages·LPM) 6가지.
한국은 RE100 회원국들이 계속해서 꼽는 RE100 악당 중에 한 곳이다. 한국은 RE100 캠페인을 시작한 글로벌 비영리단체인 기후그룹(The Climate Group)의 뉴스 메인을 장식하는 주요 국가다. 한국과 함께 열악한 국가로 꼽히는 중국(32%), 일본(15%)과 비교해도 재생에너지로 전기를 공급받는 비율이 2%에 불과하다. 지난해 10월 기후그룹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재생에너지에 대한 신속하고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한데 이어 지난 3월엔 RE100 회원사와 전문가들이 협력해 한국에 필요한 지역적 정책 메시지(Localised Policy Messages·LPM) 6가지를 개발해 발표했다. 이후 석달 뒤인 6월엔 잘 이행했는지 업데이트해서 또 보도자료를 냈다.

이 중 재생에너지 목표(2030년 21.6%) 상향을 통해 풍력·태양광 투자를 상향하는 등 의사 결정권자에게 촉진한 방향은 진전은 없었지만 정부는 몇몇 부분에서는 행동이 나타났다고 평가하면서 그 중 하나로 PPA에 존재하는 ‘불공정한 계약상의 의무를 제거한’ 조치를 꼽았다. 기존에는 PPA 계약을 체결하려는 기업은 송배전 비용을 부담해야해 PPA 가격이 화석연료보다 경쟁력을 잃게 만들었는데 이 장벽이 해소됐다는 것이다.

직접 PPA는 한국전력공사의 송배전망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달된다. 지난해 9월 처음 도입된 제도다. 한전에 망 사용료나 전용 송전선 설치비 등 추가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이 있다.

이처럼 재생에너지 공급 방식이 다변화하면서 앞으로 한국에 본사를 둔 기업도 ‘나쁜 평가’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재생에너지 전환율을 전년 대비 11%포인트(p) 확대한 31%까지 끌어올렸지만 녹색프리미엄과 공급인증서(RECs) 구매 등 재생에너지 확대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은 제도를 통해 99% 가량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린피스의 평가에서 2년 연속 가장 낮은 등급인 ‘D+’를 받고 있다.

RE100은 재생에너지 100%의 약자로 글로벌 비영리단체 The Climate Group과 글로벌 환경경영 인증기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를 중심으로 2050년까지 기업 사용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자는 자발적 캠페인이다.

김경은 (ocami81@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