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명소로 뜬 이곳, 최단기간 ‘연매출 1조’ 찍었다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이 ‘연매출 1조 점포’에 등극했다.
문을 연 지 2년 9개월 만으로, 국내 백화점 중 최단기간 1조 매출 달성이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서울의 올해 누적 매출이 지난 2일 1조 41억원을 달성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 2021년 2월 26일 문을 연 후 33개월만에 연매출 1조원을 돌파한 것이다. 이는 종전 기록인 신세계 동대구점 기록을 2년 2개월 앞당긴 것이다.
◇K컬쳐 팝업스토어로 외국인 MZ 끌어모았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외국인 매출 증대가 최단기간 1조 매출 달성의 핵심 동력이 됐다고 보고 있다. 더현대 서울 외국인 매출은 2022년 전년 대비 731.1% 증가한 데 이어 올해 1~11월에는 891.7% 상승했다. 현대백화점 전체 외국인 매출 평균 신장률(305.2%)의 3배이고 더현대 서울 외국인 구매고객 중 20~30대 비중이 72.8%다.
자연친화적인 인테리어와 넓은 휴게공간, 파격적인 공간 구성, 무엇보다 K컬처를 집대성한 각종 팝업스토어를 꾸준히 연 것이 주효했다고 현대백화점 측은 분석한다. 올해에만 더현대 서울에선 BTS(3월), 르세라핌(5월), 아이브(6월), ITZY(8월), 블랙핑크(9월)의 팝업스토어가 잇따라 열렸다.
국내·국외에서 모두 오프라인 유통업이 약화되는 상황에서 더현대 서울로 MZ소비자가 찾아오는 현상이 이어지자 이를 벤치마킹하려는 해외 기업도 있었다.
지난 7월 시작한 외국인 대상 ‘더현대 서울 벤치마킹 투어프로그램’에는 루미네·한큐(일본), 엘 팔라시오 데 이에로(EL Palacio de Hierro·멕시코), 시암 파라곤(태국), 네슬레(스위스), 제너럴밀스(미국), 포르쉐(독일) 등 글로벌 기업의 임원 및 최고경영자가 다녀갔다.
◇인스타그래머블로 흥행
전체 영업 면적(8만 9100㎡)의 절반을 실내 조경이나 고객 휴식 공간으로 꾸미고 자연 채광이 들어오는 천정 설계 등 기존에 없던 ‘리테일 테라피(쇼핑을 통한 힐링)’ 공간을 구현한 것도 주효했다. 젊은 고객층에게 ‘인스타그래머블’한 장소로 인식돼 MZ세대 집객에 성공하는 요인이 됐기 때문이다.
젊은 고객이 몰리면서 이들을 겨냥하기 위해 온라인 기반 패션 브랜드를 잇따라 유치한 이른바 ‘역(逆)쇼루밍’ 전략도 효과적이었다. ‘마뗑킴’, ‘시에(SIE)’ 등을 유치하면서 매출이 가파르게 신장했다.
젊은 고객이 늘면서 패션매출 비중도 크게 늘어났다. 오픈 첫해 19.1%에 달했던 식품 비중은 2022년 16.5%, 올해 13.2%으로 서서히 감소한 반면, 영패션은 2021년 6.2% → 2022년 10.3% → 올해 13.9%로 식품 비중을 앞질렀다. 더현대 서울의 영패션 매출 비중은 더현대 서울을 제외한 현대백화점 전 점포 평균(8.2%)과 비교해도 압도적으로 높다.
객단가도 상승했다. 2021년 8만 7854원이었던 더현대 서울 객단가는 지난해 9만 3400원, 올해 10만 1904원으로 늘었다. 전년 대비 올해 객단가 신장률은 현대백화점 전점 평균(+1.1%)을 훌쩍 상회하는 9.1%다. 연평균 20%씩 성장했던 해외명품 매출도 올해 전체 매출에선 25.6%를 차지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선관위, 현수막에 ‘내란공범’은 OK…’이재명 안 된다’는 NO
- 독일서 차량 돌진, 70명 사상…용의자는 사우디 난민 출신 의사
- 전·현직 정보사령관과 ‘햄버거 계엄 모의’...예비역 대령 구속
- ‘검사 탄핵’ 해놓고 재판 ‘노 쇼’한 국회…뒤늦게 대리인 선임
- “너무 싸게 팔아 망했다” 아디다스에 밀린 나이키, 가격 올리나
- 24년 독재 쫓겨난 시리아의 알-아사드, 마지막 순간 장남과 돈만 챙겼다
- 검찰, 박상우 국토부장관 조사...계엄 해제 국무회의 참석
- 공주서 고속도로 달리던 탱크로리, 가드레일 추돌...기름 1만L 유출
- “이제 나는 괜찮아, 다른 사람 챙겨줘” 쪽방촌 할머니가 남긴 비닐봉지
- 구찌, 국가유산청과 함께 제작한 경복궁 교태전 벽화 한시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