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완샹신탁, 1800억원대 만기도래 상품 환매 연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국금융그룹 완샹신탁이 판매해 만기가 도래한 신탁 상품이 환매되지 않고 있다고 증권시보 등 현지 언론이 2일 보도했다.
증권시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완샹신탁의 '건강교육 2호'와 '건강교육 4호' 신탁상품의 만기가 도래했으나 3개월이 넘도록 환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신탁상품은 구이저우성에 병원 건립 자금 확보를 위해 판매된 것으로,판매액은 총 10억위안(약 1820억원) 규모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금융그룹 완샹신탁이 판매해 만기가 도래한 신탁 상품이 환매되지 않고 있다고 증권시보 등 현지 언론이 2일 보도했다.
증권시보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완샹신탁의 ‘건강교육 2호’와 ‘건강교육 4호’ 신탁상품의 만기가 도래했으나 3개월이 넘도록 환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신탁상품은 구이저우성에 병원 건립 자금 확보를 위해 판매된 것으로,판매액은 총 10억위안(약 1820억원) 규모다.
투자자들은 “완샹신탁이 애초 약속했던 것과 달리 만기를 3∼5년 연장하려고 한다”면서 “투자 원금을 되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있어 걱정”이라고 말했다.
완샹신탁의 실적 악화에 따른 자금난 때문이라는 게 현지 언론의 분석이다. 완샹신탁의 작년 매출은 전년 대비 40.7% 줄어 8억6700만위안(약 1580억원)이고, 순이익은 전년보다 53.3% 줄어든 3억2700만위안(약 596억원)이다.
특히 불량 고정자산율이 2020년 13.37%에서 2021년 42.9%, 작년에는 51.67%로 늘었다. 신탁회사의 불량 고정자산율이 높아지면 재정 건전성이 악화해 고객에게 판매한 신탁상품을 제때 환매하지 못하는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중국에서는 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로 헝다와 비구이위안 등 개발업체들이 디폴트(채무불이행)에 직면한 데 이어 개발업체들의 자금줄 역할을 해왔던 금융업계로 그 여파가 확산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실제 ‘그림자금융’의 대표 기업 중즈그룹이 총자산의 두 배가 넘는 최대 47조 원에 달하는 초과 채무로 인해 중대한 경영 리스크에 직면했다고 밝혔다. 그림자 금융은 은행처럼 신용을 창출하면서도 은행과 같은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기업이나 금융 상품을 일컫는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체험기] 갤럭시S25, AI 검색⋅편집 편리해졌지만… 카카오톡·네이버 등 외부 앱과 연동 안돼 불
- [르포] “金사과·金배 선물 세트 2만5000원 싸게 샀어요”… 설 연휴 앞둔 직거래장터 가보니
- 작년 직수입 LNG 1000만t 넘을 듯… “에너지 비용 14조원 절감”
- 이번엔 ‘패낳괴’ 없을 듯... MSCI 정기 변경 앞두고 무더기 편출 가능성
- 年매출 180억인데... 파산 신청 후 잠적, 중소형 광고대행사 도미노 위기
- 사우디와 방산 협력 진전… 커지는 50억 달러 수출 기대감
- 쿠팡 명품 플랫폼 파페치 흑자 전환 ‘청신호’... 신사업 효자 될까
- [Why] 트럼프 시대 열리자마자 로봇으로 美 뚫었다… 고영, 새해부터 상한가 까닭은
- ‘글로벌 확장’ 노리는 대명소노의 항공업 진출… 숙박업과 시너지 가능할까
- LIG넥스원, 해외 매출 첫 30% 돌파 전망… ‘비궁’ 美 수출 관심